통영 오월 김현정 셰프

“혹시 통영 음악당에서 바다 본 적 있어요? 눈앞으로 화도와 한산도 등 크고 작은 섬이 능선을 이루거든요. 그 풍경을 가만히 보는데 순간적으로 이런 곳에서 일하면 얼마나 행복할까 하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당시 통영음악당 측에서 같이 일하자는 제안을 받아 찾아갔었거든요. 그 풍경을 보고 나서 조건 같은 건내가 다 맞추겠다 하고 바로 통영으로 내려왔어요.” 파리의 르코르동 블루를 졸업하고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서울 부암동에서 레스토랑 ‘오월’을 운영하던 김현정 셰프는 치솟는 월세를 감당하지 못하고 5년 동안 홀로 일궈낸 식당을 문닫아야 했다. 허탈한 마음과 ‘서울에서 살기에는 내가 좀 부족한 사람인가’ 라는 생각이 들 때 통영음악당으로 부터 총괄 셰프 자리를 제안받았다. 그렇게 그는 단 한 번도 와보지 않은, 연고도 없는 통영에 단숨에 내려오게 됐고 4년째 이곳에서 지내고 있다. 그리고 지난해 3월, 원 테이블 레스토랑 통영 오월을 오픈했다. 통영에 사는 기쁨은 매 순간 숨 쉬듯 느끼는 계절감이다. “서울 식당에는 시금치가 1년 내내 기본 반찬으로 나오잖아요. 지금 통영은 시금치 철이 끝나가요. 그러니 여름에 시금치가 상에 오르면 통영 사람들은 ‘뭐지 이 근본 없는 반찬은?’ 하는 거죠. 각종 해초와 나물 등 식재료가 풍부하니까 계절마다 먹어야 할 것이 넘치죠. 통영 사람들은 살아 있는 생선이 아니면 회로 먹지 않아요. ‘죽은 걸 왜 먹어? 서울 사람들 너무 불쌍하다’그래요. 구이도 살아 있는 걸 잡아 구우니까요. 이곳에 와서 여름 농어의 참맛을 알았어요. 특정 계절의 식재료가 어떤 맛이라는 걸 통영에 와서 새로 배우는 거죠”. 통영의 흔한 동네 식당이 그러하듯 그가 운영하는 레스토랑 통영 오월 역시 계절이 선사하는 식재료의 순환을 충실히 따른다. 매일 아침 통영 서호시장을 향하는 것으로 그의 일과는 시작된다.

My Favorite

4월 초에 봉수골에서 벚꽃 축제를 해요. 나무가 울창해서 벚꽃이 만개할 때가 되면 터널처럼 빽빽하게 꽃이 펴요. 이때가 통영 사람들이 1년에 한 번 봉수골 가는 날이죠. 레스토랑 가까이 있는 통영중학교 교정도 참 예뻐요. 관리가 잘돼 있고, 늘 열려 있는데 한 여름 밤에 학교 잔디밭에 누워서 별을 보는 것도 좋아하는 일 중 하나예요. 서호시장에 장 보러 갔다가 횟집에서 밀치 한 마리 썰어서 년우식당 가고요. 특별한 맛집이라기보다 조용하고 편안한 분위기가 좋아서 자주 들르는 백반집이에요.

통영 오월

100% 예약제 레스토랑으로 매일 점심과 저녁 단 한 테이블씩 예약을 받는다. 로컬 프렌치 이탤리언 레스토랑으로 정해진 메뉴는 없다. 예약 시 셰프와 함께 메뉴와 식재료를 상의할 수 있는데 특히 서울이나 대도시에서 방문하는 이들에게는 모든 코스에 해물을 ‘융단 폭격’ 하듯이 최대한 꾹꾹 담아 낸다. 우리가 찾은 날은 가리비 키슈와 명란 부르스케타, 토마토 살사와 초고추장 양념을 올린 참숭어(밀치)를 한 입 크기로 담은 애피타이저, 방풍나물 등 쌉쌀한 봄철 채소를 올리브 오일과 소금만으로 간한 샐러드, 로즈메리와 마늘을 넣고 한 마리를 통째로 튀긴 돔 요리, 멍게와 미나리 오일 파스타, 녹차 가루를 넣어 반죽한 다쿠아즈와 딸기와 붉은 베리 셔벗을 선보였다. 가격은 3만원에서 5만원대.

주소 경남 통영시 데메3길 64-12
문의 010-3005-4418

소목장 강동석

미술을 전공하고 9년간 가구를 비롯한 소목 작업을 해온 강동석 씨는 대구와 부산, 서울 등 대도시에 머물다 고향인 통영으로 다시 돌아왔다. 나고 자란 통영은 그에게 특별할 것 없는 익숙한 곳이지만 작업을 위한 최적의 환경임은 분명하다. “조용해서 좋아요. 바깥에 사람들 지나다니면 나도 나가서 놀고 싶다 아닙니까. 술도 마시고 싶고. 그런 방해 요소가 없으니까. 그리고 작업실이 외진 곳에 있다 보니 친구들이 잘 안 와요. 자연스럽게 만나고 싶은 사람만 만나게 되고. 목작업을 하면 그런 느낌이 들거든요. 수도승이 겪는 것과 비슷한 점이 있어요. 많이 정화되죠. 좀 차분해지고 다 별거 아닌 것 같고. 그러니까 목작업을 하겠죠. 미친놈도 아니고 집을 왜 혼자서 짓겠습니까.”(웃음) 통영 시내에서 차로 20여 분 떨어진 연명예술촌에서 작업을 이어오던 그는 지난해 새해 첫날, 내 손으로 내 집을 지어야겠다고 결심한다. ‘집도 큰 가구’라는 생각으로 설계를 시작했고, 통영 안팎에서 1년여간 모은 옛 폐선이나 뗏목 나무들을 집의 주재료로 사용했다. “바닷물에 잠겼던 나무는 잘 안 썩어요. 익을 대로 익은 나무죠. 썩지 않고 튼튼하니까 집 재료로도 쓸 수 있겠다 싶더군요. 바닷물에 1년 정도 더 담그고 6개월 정도 건조하며 집을 지을 계획을 짜나갔습니다.” 단 하루도 제대로 쉬지 않고, 공사에 꼬박 1년을 쏟았다. 나무만으로 마감하고, 과거 배 갑판으로 사용하던 귀한 나무는 작은 화장실 바닥에 깔았다. 바다를 늘 마주할 수 있는 통영이니만큼 집 뒤편 대나무 숲을 향해 길게 창을 냈다. 45도의 뾰족한 지붕부터 작은 전기 스위치와 손잡이까지 자신이 그렸던 모습 그대로다. 현재 사소한 마무리 작업만을 남겨두고 있으며 집을 완성한 후 다음 작업 목표는 배다.

My favorite

척포에서 해 지는 풍경을 보는 걸 좋아합니다. 혼자 작업하는 사람은 동료가 없으니까 어디 하소연할 데가 없지 않습니까. 일출을 보는 생활 패턴은 또 아니라서.(웃음) 항남동에 있는 카페이자 바인 바이사이드도 가끔 가서 술 한잔하고요. 지난여름에는 지인의 요트를 타고 가까운 바다에 나간 적이 있어요. 선상에서 고기도 구워 먹고 했는데 좋더라고요. 낙원 비슷하게.”

통영식당

통영에 와서 알았다. 통영 사람들이 도다리가 아니라 쑥을 먹기 위해 도다리쑥국을 먹는다는 사실을. 쑥이 돋아날 무렵 때 맞춰 제주도 근처에서 겨울 산란기를 보낸 도다리가 통영 앞바다로 올라온다. 살이 잔뜩 오른 담백한 도다리와 한산도와 육지도, 비진도 등에서 해풍을 맞고 자란 쑥과 쑥 향을 해치지 않을 만큼 아주 적은 양의 된장을 풀어 따뜻한 국 한 그릇을 끓인다. 봄이 되면 너도나도 도다리쑥국을 내놓지만 통영 현지 사람들이 유독 이곳 통영식당을 찾는 이유는 미세한 손맛 차이 때문이다. 국물을 처음 한술 뜨는 순간 직감했다. 이 한 그릇 때문에 매년 봄이면 통영을 생각하게 될 것 같다고. 도다리쑥국을 주문하면 봄에 특히 고소한 봄멸치에 각종 채소를 넣어 직접 만든 초장으로 양념한 멸치회, 주인이 직접 담근 대구알젓, 매일 바뀌는 생선구이, 지금 먹어야 가장 맛있는 방풍나물과 냉이 무침 등이 상 가득 반찬으로 나온다.

주소 경남 통영시 통영해안로 213
문의 055-647-0188

멍게가

멍게가는 양념하지 않은 멍게를 한 번 살짝 데쳐 비린내를 잡고 ‘합자국’이라고 부르는 홍합 삶은 진국과 어간장만을 더하고, 세모가사리와 무순, 새싹, 김과 해초를 올려 멍게비빔밥을 완성한다. 신선한 멍게와 채소, 최소한의 양념이 어우러진 깔끔한 감칠맛과 짭조롬함과 단맛이 번갈아 치고 올라오는 진짜 ‘바다 향’을 느낄 수 있다. 이미 몇몇 방송에 소개돼 북적이지만 통영 현지인들이 발을 끊을 수 없는 맛이기도 하다. 곁들여 나오는 미역국마저 예사 맛이 아니다.

주소 경남 통영시 동충4길 25
문의 055-644-77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