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UCCI 구찌 구찌캠페인

GUCCI

넬슨 만델라가 태어난 지 1백 년, 인종차별 정책인 아파르트헤이트가 폐지된 지 28년째다. 올 한 해 세계 각국에서는 만델라를 회고하는 행사가 열렸고, 인종주의에 관한 논의 역시 어느 때보다 뜨거웠다. 칠레 출신의 축구 선수가 우리나라 선수 앞에서 눈을 찢는 제스처를 취하자 전 세계 축구 팬들의 비난이 쏟아졌고, 화이트 워싱(인물의 실제 인종에 관계없이 백인 배우를 캐스팅하는 행위)에 반대하며 모든 역할을 동양 배우에게 맡긴 워너브라더스의 신작 <크레이지 리치 아시안스> 는 북미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 할리우드의 메이저 무비 스튜디오에서 아시아인을 주연으로 한 영화를 제작한 건 1993년 개봉한 <조이 럭 클럽> 이후 무려 25년 만의 일이다.

패션계의 인종차별 문제도 예외 없이 불거졌다. 적지 않은 브랜드가 여전히 백인 모델만을 런웨이에 세우거나, 흑인과 동양인을 비하하며 시대착오적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는 사실이 다시금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이다. 성적 지향이나 성 정체성 조차 문제 되지 않는 이 진보적인 분야에서도 여성과 유색인종은 여전히 차별 대상이 되는 현실이 새삼 놀랍다.

이와 관련해 가장 눈에 띄는 사건(!)은 루이 비통 역사상 첫 흑인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임명된 버질 아블로의 데뷔다. 오프화이트를 성공 가도에 안전하게 올려놓은 그의 능력과 커리어야 두말할 것 없지만, 거대 패션 그룹이 복잡한 이해 관계를 이유로 팀의 수장 자리에 백인 중심의 인사를 고수해왔음을 돌이켜보면 브랜드로서도 쉽지 않은 결정이었을 거라는 추측이 지배적이다. 1980~90년대 할렘 문화의 부흥을 이끌었던 디자이너 대퍼 댄(Dapper Dan)과 협업하며 할렘을 패션 의 메인스트림으로 끌어 올린 구찌의 ‘구찌-대퍼 댄 컬렉션’ 역시 맥락을 같이한다.

한편 대대로 종교 분쟁과 전쟁, 성차별, 인종차별에 반대해온 베네통은 17년 만에 아트 디렉터로 복귀한 올리비에로 토스카니(Oliviero Toscani)의 지휘 아래 새로운 캠페인 ‘누디컴’을 선보였고, 반스는 외형 중심의 구분법 대신 창조적인 방식으로 자신을 결정하고 표현하자는 의미의 캠페인 ‘컬러 띠어리’를 공개했다. 특별한 문구 한 줄 없지만 다양한 인종으로 이루어진 모델들의 포즈에는 말하고자 했던 메시지가 유감없이 담겨 있다.

NIKE 나이키 콜린캐퍼닉 나이키30주년

NIKE

나이키의 30주년 캠페인 역시 빼놓을 수 없다. 무엇이든 할 수 있으니 꿈을 향해 나아가라는 컨셉트는 브랜드가 기존에 주장하던 바와 다르지 않지만, 국가를 제창하는 대신 한쪽 무릎을 꿇음으로써 미국 정부의 인종차별적 행보에 반대했던 미식축구 선수 콜린 캐퍼닉을 모델로 기용했다는 점에서 화제성은 다른 때와 견줄 수 없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트위터에서 나이키를 언급하며 분노를 표했다. ‘모든 걸 희생하더라도 신념을 지켜라’라는 의미심장하기 이를 데 없는 문구 덕분에 논쟁은 불거지고 있지만, 상승한 나이키의 판매율은 평화주의자들이 우세하다는 증거로 해석된다.

백인 중심으로 흘러가던 모델계에도 변화가 생겼다. 주요 패션위크 무대에 선 흑인 모델의 비율이 지난해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늘어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데다 업데이트된 모델 랭킹에서 한국인 모델 최소라가 세계 5위를, 아프리카 수단 출신의 흑인 모델 아두트 아케치가 8위를 차지한 것. 이 변화 뒤에 환경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동양인 모델만을 세우며 유색인종 모델의 입지에 힘을 보탠 디자이너 클라우디아 리(Claudia Li) 같은 이들의 수치화할 수 없는 노력이 숨어 있음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어지르는 사람 따로, 치우는 사람 따로라는 만고의 잔소리가 이보다 잘 들어 맞을 수 있을까? 어쨌거나 한 가지 다행인 부분은 지난 몇 시즌간 디올과 프라발 구룽을 보며 학습했듯 패션계 내부의 자정작용이 꽤 힘을 발휘한다는 점이다. 비록 에디터가 이 기사를 쓰기 위해 모으고 모은 사례가 이 정도에 그쳤다는 건 아쉽지만 어떠하랴. 앞선 생각을 지닌 브랜드와 영향력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디자이너, 각자의 위치에서 분투하는 모델과 감시자를 자처하는 소비자까지 지금 이 순간에도 패션계가 답습하는 악습에 맞서는 이들이 존재한다는 것, 그리고 그들의 수가 점차 늘어날 거라는 기대 자체가 유의미한 것이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