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7mcmacumd11_01

도무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조합이 있다. 도형과 그림. 전자가 차가운 이성에 의한 거라면  후자는 뜨거운 감성의 결과물이다. 허욱 작가는 차가운 도형에 뜨거운 색을 입혔다. 작가는 수학과 예술이라는 얼핏 상충되어 보이는 두 가지 사이에서 오히려 공통점을 찾아냈다. “결합이라기보다는 두 요소에서 공통점을 발견했다는 게 맞는 말인 것 같아요. 예술의 세계는 자유롭고 무한하며 다양하기에 수학적인 요소도 품을 수 있기 때문이죠.” 연희동의 L153 갤러리에서 한창 전시 중인 허욱 작가를 만났다.

 

작가가 수학적인 요소에 관심을 가지게 된 건 아주 오래전 어린아이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도형 등 수학적인 요소보다는 공간에 대한 관심이라는 표현이 더 정확하겠다. “초등학교 1학년 때 받아쓰기 시험을 봤어요. 선생님의 입 모양을 읽고 단어를 적는데 어느 한 단어가 도무지 무슨 말인지 모르겠더군요. 제가 답을 쓰기를 기다리는 친구들에게 미안해 틀린 답이라도 그냥 써버릴까 하는 생각도 했어요. 그런데 하얀 종이를 보면 볼수록 쓰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이 더 강해지는 거예요. 결국 그렇게 받아쓰기 시험이 끝나버렸죠.” 어린 시절 받아쓰기에 얽힌 기억은 ‘공간에 대한 진실’에 호기심을 품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점점 수학 시간에 칠판에 적힌 문제 풀이의 과정에 흥미가 생겼다. 정답을 얻는 과정을 집중해 읽다 보면 재미있었고 풀이 과정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실감하게 되었다. 애착을 가졌던 칠판이 마치 하얀 캔버스처럼 느껴졌는데 그때 품게 된 공간과 수학에 대한 관심이 지금 작업 방식의 시발점이 된 셈이다.

“수학뿐 아니라 과학, 화학, 건축도 좋아했어요. 건축과 화학에서 일어나는 서로 다른 원료의 관계와 작용에도 관심이 많았죠. 파리의 미술 학교에 입학하기 위해 마지막 인터뷰를 할 때 제가 가져간 게 가정용 유성 페인트 물감으로 그린 그림이었어요. 경제적으로 여유롭지 않았으니 크고 얇은 종이에 그림을 그렸죠. 그 그림을 모아 교수들에게 보여줬더니 휘발유 냄새가 지독하게 나는 거예요. 한 교수가 도대체 언제 그렸느냐며, 휘발유 냄새를 보니 분명 급히 준비한 것 같다고 했죠. 그래서 ‘종이와 유성물감의 화학작용이 잘못 일어나 이런 냄새가 남게 된 것이고 이 역시 회화의 한 부분이다’라고 말했어요.”

 

1607mcmacumd11_03

작가의 모든 작품은 이름이 같다. 더하고 더하다는 의미의 ‘첨첨(添添)’. 이미지의 분할과 해체, 결합과 조합, 그리고 더하고 더하는 그의 작업 방식이 담긴 제목이다. “제 작품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선과 경계예요. 선이 그어지며 경계를 만들죠. 경계와 경계를 이어주는 선은 자연스럽게 곡선이 됩니다. 그렇게 마음을 따라 선을 긋다 보면 편안하고 자유로워져요. 자유롭게 항해하는 것처럼요. 선과 경계가 끊임없이 반복되다 보면 새로운 것들이 만들어지죠.”

선과 선으로 만들어진 공간은 강렬한 색들로 채워지는데, 그 색감이 매우 선명하고 또렷하다. “캔버스 위에서 색을 섞지 않아요. 제가 택한 물감의 색이 그대로 발현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 때문에 순수하고 선명하게 표현되는 것 같습니다. 언젠가 하늘에 레이저를 비춰 드로잉 과정을 그림으로 표현하고 싶어요. 그러기 위해서는 엄청 많은 레이저가 필요하겠죠? 제 작품을 봐주는 사람들이 그림 너머에 있는 그 과정을 재미있게 바라봤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