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

1991, 기후변화청년모임 빅웨이브 대표 (@bigwave4cc)
‘기후 위기 대응의 파도를 만드는 사람들’이라는 타이틀 아래 기후변화청년모임 빅웨이브를 이끌고 있다. 2015년 12월 파리기후변화 협약 체결 직후 청년들이 모여 시작된 이래 기후변화와 관련한 다양한  세미나와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

 

그레타 툰베리 같은 ‘아이콘’이 나오길 기대하는 것도 좋지만,
그 전에 우리 사회가 툰베리 같은 사람이 나올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사회인지 먼저 돌아봐야 하지 않을까.

 

행동의 시작 대학 때 중국 내몽고 사막에 나무 심기 봉사 활동을 하러 간 적이 있다. 환경을 전공했기 때문에 실제 현장을 보고 환경보호 활동에 참여하고 싶어서 갔는데 끝없이 펼쳐진 사막을 보고 압도당했다. 내가 심는 묘목 한 그루가 무슨 도움이 될까 회의감을 느꼈다. 하지만 그곳에서 만난 현지 노부부가 해준 이야기는 놀라웠다. 10여 년 전부터 나무를 심은 덕분에 사막화 속도가 서서히 더뎌져 두 가구가 원래 고향인 이곳으로 돌아왔다고 했다. 그 일을 계기로 현실을 비관하기보다 현재 위치에서 최선을 다해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됐다.

최대 관심사 어떻게 하면 사회가 청년을 바라보는 시선을 바꿀 수 있을지 고민한다. 청년이라 하면 재치 있고 창의적 존재로 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미숙하고 세상 물정을 모르는 사람으로 취급할 때도 있다. 심지어 정책 간담회에 참여한 동료가 ‘아들딸 같다’, ‘기특하다’라는 이야기를 듣고 왔다는 말에 소위 현타가 오더라. 그레타 툰베리 같은 ‘아이콘’이 나오길 기대하는 것도 좋지만, 그 전에 우리 사회가 툰베리 같은 사람이 나올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사회인지 먼저 돌아봐야 하지 않을까.

참기 어려운 일 더 이상 기후 위기가 심각하다는 이야기를 그만했으면 좋겠다. 지난해만 해도 울진과 삼척에서 큰 산불이 났고, 폭우 때문에 강남역이 침수되는 일을 겪지 않았나. 지금도 기후 위기를 부정하거나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는 2009년에 처음 수립했음에도 정부가 세 번이나 바뀌는 동안 한 번도 지켜지지 않았다. 그리고 그 누구도 책임지지 않는다. 기후 위기의 마지노선이라고 불리는 1.5°C 높아지는 데 6년 6개월밖에 남지 않았다. 이제는 토론하기보다 구체적 행동이 곳곳에서 일어나길 소망한다.

낙담 속 희망 주위에 같은 활동을 하는 분들을 보면 큰 동기부여가 된다. 내 또래 중에는 취업, 결혼, 내 집 마련 등 평범하게 살아가기 힘든 조건인데도, 바쁜 현생을 기후 위기 대응에 쏟는 분이 많다. 전공이나 업무와 관련 없는 분들도 관심이 점점 많아지고 있고, 자기 이익만 챙기기보다 타인을 위하는 건강한 정신을 가진 분도 많다. 멋진 분들과 함께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자존감이 높아지는 경험을 매 순간 할 수 있어 감사하다.

‘이미 늦었다’고 말하는 사람들에게 현재 내려지는 결정과 사회적 합의에 따라 미래가 결정된다고 생각한다. 청(소)년 들도 현재 사회를 살아가는 구성원으로서 중요한 의사 결정 과정에서 배제되거나 소외되지 않아야 한다. 그것이 곧 나의 미래를 위한 길이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