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아 젊음은 오래 거기 남아 있거라” (윤동주, ‘사랑스런 추억’)
청춘이란 찰나에 머물다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 곁에서 매 순간 새롭게 태어나는 것일지도 모른다.
책, 영화, 음악, 우리가 주고받은 대화까지.
마리끌레르 피처 에디터 5인이 저마다의 생에서 건져 올린,
불완전하게 반짝이는 청춘의 조각들.
그레타 거윅의 영화들


“가끔은 마음 가는 대로 막 해보는 것도 좋아.”
<프란시스 하> 중에서
영화 <프란시스 하>의 흑백 화면 속에서 뉴욕 거리를 내달리는 프란시스. “가끔은 마음 가는 대로 막 해보는 것도 좋아”, “우리는 세계를 접수할 거야”라고 당당하게 외치며 거대한 꿈을 향해 ‘우당탕탕’ 나아가는 그의 모습이 내게는 마치 청춘의 초상 같다. 마음대로 되는 일이 하나도 없지만 그럼에도 생기를 잃지 않는 프란시스를 표현한 이후, 그레타 거윅은 목표를 전부 이룬 것처럼 보이지만 아직 방황 중인 <미스트리스 아메리카>의 ‘브룩’이, 사랑과 결혼 사이에서 뜻밖의 결심을 하는 <매기스 플랜>의 ‘매기’가 된다. 그렇게 엉뚱하면서도 능동적인 여성들을 그려가다 첫 단독 연출작인 <레이디 버드>를 통해 10대 소녀의 삶을 비춘다. 가족, 친구, 연인 등 다방면의 고민을 끌어안은 채 성장통을 겪는 크리스틴 ‘레이디 버드’ 맥피어슨의 이야기를 스크린으로 접하며 혼란과 방황, 성장이라는 청춘의 다채로운 면면을 발견한다. 이는 분명 10대에서 20대로, 20대에서 30대로 이어지는 청춘을 지나는 여성의 여정에 대한 그레타 거윅의 오랜 탐구와 애정에서 비롯되었을 거라 짐작해보면서 말이다.
구원찬
청춘에 대해 고민하다 보면 지난날들을 자꾸 돌아보며 과거를 그리워하게 된다. 그러다 이내 ‘순수’라는 단어에 다다른다. 좀 더 성숙해지기를 바라던 어린 시절을 건너온 내가 다시는 예전처럼 순수하게 살지 못할 것 같아 마음이 먹먹할 때, 구원찬의 음악을 찾아 듣곤 한다. 슬퍼하는 누군가를 위해 조용히 곁에 있어주겠다는 ‘슬퍼하지마’, 사랑한다는 말로도 내 감정을 다 설명할 수 없다고 전하는 ‘표현’ 등 그가 쓴 가사는 담백한 목소리, 편안한 사운드와 어우러지며 한 사람의 마음을 엿보게 한다. 화려하게 포장하지도, 애써 감추지도 않은 그 마음은 지난 연말에 공개된 신곡 ‘변하는 걸 그저 내버려두기엔’으로 이어진다. 그리움과 추억에 깃든 감정과 소망을 녹여낸 이 곡을 공개하며, 그는 SNS에 이런 글을 남겼다. “더 이상 순수할 수는 없지만 여전히 이상적인 사랑을 꿈꾸고, 노래하고 싶습니다. 그리움이 여전히 있지만, 그리움에 지치고 싶지 않습니다.” 나와 비슷한 생각을 지닌 동년배 뮤지션의 음악으로 마음에 묻은 때를 조금이나마 씻어내고, 이미 흘러가버린 듯한 나의 청춘에 다시 한 걸음 다가가본다.
청춘의 말들
인터뷰를 하다 보면 가끔씩 이런 생각이 든다. ‘이 사람의 목소리, 눈빛과 표정까지 지면에 담을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어떤 순간에는 그의 진심이 들리고 보이는 것만 같아서, 아무리 있는 그대로 적어보려 해도 납작한 텍스트로는 오롯이 표현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지난 칼럼들을 다시 꺼내 읽어보았을 때, 가장 선명히 떠오르는 청춘과 함께한 순간들을 여기에 한 번 더 남겨둔다. 이들의 낭만, 열정, 사랑이 보다 진실하게 가닿기를 바라며.

“소년, 소녀가 저한테는 가슴을 울리는 단어예요. 나이를 떠나 누구에게든 찬란히 빛나는 듯한 느낌을 주잖아요.”
_더보이즈 큐

“아무리 힘들어도 마지막 힘을 내보는 거예요. ‘무조건 간다’는 생각만 품은 채 끝내 터치 패드에 손이 닿을 때까지요.”
_수영 선수 김우민

“제 삶에 당연히 존재하는 사람들한테 오래 사랑을 주는 게 소원이에요. (…) 사랑을 주고받는 과정이 쌓이다 보면, 더 사랑할 힘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싶어요.”
_뮤지션 쏠(SOLE)

“‘낭만’이란 단어를 좋아해요. 작은 낭만을 품고 있을 때 마음이 가끔 따뜻해지더라고요.”
_배우 홍사빈
이규리 <최선은 그런 것이에요>

머릿속이 복잡하고 마음이 소란스러울 때면 시집을 찾는다. 이를 습관으로 들이게 된 스물네 살 무렵, 모서리가 닳도록 자주 펼친 책 중 하나가 이규리 시인의 세 번째 시집 <최선은 그런 것이에요>다. 그의 시는 어디에도 털어놓지 않은 내 이야기를 누군가 사려 깊게 표현해주는 듯했다. “그 바람, 밖에서 부는데 왜 늘 안이 흔들리”(‘허공은 가지를’)느냐고, “모든 당신은 슬프다, 라고 쓰고 나니 그 당신들이 주렁주렁 열린다”(‘봉봉 한라봉’)고, “삶에 물기를 원했지만 이토록 / 많은 물은 아니었다”(‘많은 물’)고. 외로움과 절망, 허무, 슬픔 같은 감정들을 헤아리면서 페이지를 넘기다가 시집의 끝에 다다르면 깨닫게 된다. ‘불안도 꽃’이라는 것을, 마음속 불안을 외면하지 않고 담담히 받아들여야 비로소 내면이 잔잔해진다는 사실을. 폭풍우처럼 휘몰아치는 감정에 아파하면서도 상처를 보듬고 나아가는 게 청춘의 불가피한 특성이라면, 그 시절의 나는 이규리 시인의 화자들과 닮아 있었다. 그리고 수년이 흐른 지금도, 한때 사랑한 이 책을 언제든 다시 꺼내 읽을 수 있도록 가까이에 두고 있다. 그게 나의 내일들을 꿋꿋이 살아갈 수 있는 방법임을 알기 때문에. 최선은 그런 것일 테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