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가장 주목해야 할 작가들을 선정하고 지원하는 프로그램 ‘키아프 하이라이트(Kiaf HIGHLIGHTS)’.
고유한 정체성과 독창성에 동시대적 맥락을 더하며,
예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그려가는 올해의 세미 파이널리스트 10인을 만났다.

YU XIAO
Lucie Chang Fine Arts
유 시아오(1980, 중국)는 항저우 출신으로 베이징과 런던을 기반으로 활동 중이다. 항저우 사범대학교 미술대학에서 회화를 전공했으며 런던의 센트럴 세인트 마틴에서 미술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회화를 중심으로 작업하며, 회화적 정체성을 기반으로 한 설치 작품과 퍼포먼스도 선보인 바 있다.

stained stretcher, previously applied masking tape, 60×80cm, 2025


작품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는 무엇인가?
현재로서는 점, 공(ball), 공(空, 추상의 깊이라는 맥락에서 ‘xū’)를 꼽을 수 있다. 내 작업에서 재료는 은유의 역할을 한다. 캔버스 틀은 사회적 지원의 시각적 대용물이고, 자르는 행위는 폭력을 신성한 것으로 전환하며, 공(空)이 침묵을 공명하는 힘으로 변모시키는 식이다.
‘공(空)’의 개념에 대해 조금 더 설명해준다면?
송나라의 사상이기도 한 공(空)은 시대와 사상을 넘나드는 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데, 내 작업에서 표현하고자 한 핵심에는 페미니즘 관점에서의 재해석이 있다. 내 작업은 문화를 초월한 페미니스트 미학을 중심으로 캔버스를 자르고, 접고, 재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트라우마를 시각화하며 공(空)을 정치적 공간으로 활용하는 가능성을 탐구해왔다. 지난해 키아프에서 이러한 개념을 강력하게 도입하기 시작한 작품들을 전시했다면, 최근 작업은 이를 기반으로 더욱 흥미로운 아이디어와 영감을 담고 있다.
표면에 레이어를 만드는 방식이 흥미롭다. 당신의 작품에서 ‘차원(dimension)’은 어떤 의미를 갖나?
작업과 연구를 거듭하며 스스로 자주 곱씹어보는 질문이다. 내게 ‘차원’은 센티미터로 측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리기, 자르기, 이동을 통해 형상화되는 이질적 형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트라우마와 관련이 있는 우울이나 애도의 형상에 선, 색상, 붓 터치 등을 더하면 회복력 또는 우아한 저항이라는 ‘역전된 의미’를 창조할 수 있다. 이처럼 내 작업에서는 전통적 개념이 아닌 물리적, 시간적, 문화적 차원의 레이어들을 통한 탐구와 구축이 이뤄진다.
당신의 작품은 기하학적이고 추상적인데, 어떤 형태에 마음이 이끌리는 편인가?
정의하기 어려운, 모호성을 암시하는 형태에 사로잡혀 있다. 내게 불확실성은 ‘숨김과 드러냄의 틈새에서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것들을 담아내는 그릇’과 같다. 이는 여성의 표현을 위한 통로가 되어주기도 한다. 불확실성을 통해 수치심, 고통, 트라우마를 겪으면서도 품위 있게 살아가고자 하는 여성들의 투쟁을 담을 수 있다고 본다.
올해 키아프를 찾은 관객들이 당신의 작품에서 무엇을 발견하기를 바라나?
내 작품이 촉각적 공포를 불러일으킬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찢어진 듯한 형태의 작품 앞에 선 이들이 실제로 소름이 끼치는 듯한 감각을 느낄 수 있었으면 한다. 생생한 육체적 충격은 사회적 규범에 의해 훈련되거나, 숨겨지거나, 손상된 몸들이 전하는 ‘침묵의 언어’라고 본다. 내 작품을 구성하는 작은 요소들은 관람객이 “이게 뭐지?”라는 질문을 던지게 하며 전통적인 예술 관람을 방해하기도 한다. 이를 통해 각자 본인의 ‘미개척된 면’을, 공(空)의 자리를 발견하기를 바란다. 미뤄둔 커리어, 숨겨둔 슬픔, 비현실적이라고 여겨온 꿈처럼 그동안 감춰온 것들을 떠올리면서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