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의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누적 시청자 수 3억 회를 돌파하며 ‘오징어 게임’을 제치고 넷플릭스 최고 흥행작에 등극했습니다. 소니 픽처스는 넷플릭스로부터 약 219억 원 보너스를 받았다고 합니다.

넷플릭스

스트리밍에서 새로 쓴 기록

‘케이팝 데몬 헌터스'(이하 ‘케데헌’)은 먼저 플랫폼 내 기록부터 갈아치웠습니다. 넷플릭스가 공식 발표한 수치에 따르면, 공개 이후 누적 시청회차 기준으로 3억 회를 돌파하며 넷플릭스 사상 최고 기록을 세웠습니다. 이전까지 넷플릭스 최고 기록이었던 ‘오징어 게임’ 시즌 1의 약 2억 6천만회(265.2 백만)를 가뿐히 넘어, 영화·시리즈 통틀어 플랫폼 전체에서 가장 많이 본 콘텐츠가 됐습니다.

넷플릭스

제작·배급 구조와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

‘케데현’이 보여준 또 하나의 변화는 제작·배급 거래 방식입니다. 제작사인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과 넷플릭스 간에 맺은 계약이 “제작해서 배급한다” 수준을 넘었다는 점이 중요한데요. 해외 기사를 보면, 넷플릭스는 케데현 제작비 1억 달러를 전액 부담했고, 소니는 그 대가로 정해진 제작비 수익 + 각종 음악 저작권·출판권 수익을 얻는 형태였습니다. 그래서 약 1,500만 달러(219억 원)에 달하는 성공 보너스 지급이 이뤄졌던 겁니다. ‘케데헌’은 제작비 전액 외주+플랫폼 선지급 구조가 유리하게 작동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줬습니다. 앞으로 유사 투자/배급 모델을 검토하는 방향도 바뀔 것으로 보입니다.

넷플릭스

음악과 팬덤·문화의 확대

음악 시장 및 팬덤 문화에도 큰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주제곡인 ‘Golden’은 미국 빌보드 HOT 100에서 1위를 차지했고 그래미 본상 후보에도 올랐습니다. 단순히 영화 OST가 잘 나왔다는 차원이 아니라, 가상의 K-pop 아이돌 그룹이 세계적 음악시장 차트를 정복했다는 상징성이 있습니다.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제작 방식 선호

‘케데헌’이 애니메이션 영화라는 점도 주목할 만합니다. 일반적으로 넷플릭스에서 인기 있는 건 시리즈나 액션 영화였고, 애니메이션 영화가 이렇게 기록을 낸 경우는 없었어요. 실제로 “’케데현’은 넷플릭스 사상 가장 많이 본 영화 타이틀”이라는 공식 발표가 있었습니다.

넷플릭스

한류의 성장 가능성

한국 대중문화, 즉 한류 측면에서도 ‘케데헌’이 가지는 의미는 상당합니다. 해외 반응을 보면, “한국 문화 수출이 단순히 음악이나 드라마를 넘어서 글로벌 애니메이션 시장까지 파고들었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한국의 K-pop 아이돌 이미지, 한국적 미학, 그리고 글로벌 소비양식을 결합한 콘텐츠가 세계 최고 기록을 세운다는 것이 가진 상징성은 매우 크죠. 최근 넷플릭스가 소니픽처스와 오는 2029년 공개를 목표로 ‘케데헌’ 속편 계약을 체결했다고 하는데요. 앞으로 세울 기록들도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