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극단이 2025년 첫 제작 작품으로 연극 <만선>을 선보입니다. 오는 3월 6일부터 3월 30일까지 국립극단 명동예술극장에서 상연합니다.

© 국립극단

천승세 작가의 <만선>은 한국 현대 창작 희곡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1964년 국립극장 희곡 현상공모에 당선되어 같은 해 7월 처음 무대에 올랐습니다. 천 작가에게 제1회 한국연극영화예술상(현 백상예술대상)에서 신인상의 영예를 안기기도 했죠. 이후 2020년 윤미현 윤색과 심재찬 연출의 손을 거쳐 국립극단 70주년 기념작으로 다시 만들어졌는데요. 해당 작품은 2021년에 정식으로 첫선을 보였으며, 2023년에도 다시 무대에 올랐습니다. 그리고 다시 2년이 흐른 2025년, <만선>이 2023년 공연의 창작진 및 배우 전원과 함께 한 번 더 관객을 만납니다.

<만선>은 남해안 작은 섬마을에서 평생 배 타는 일밖에 몰랐던 ‘곰치’와 그 일가를 중심으로 벌어지는 이야기로, 살기 위해 바다로 뛰어든 어부의 비극적인 숙명을 통해 1960년대 산업화의 그늘에 가려져 있던 서민의 무력한 현실을 사실적으로 그려냈습니다. 이 때문에 ‘한국적 사실주의 연극의 정수’로 평가받죠.

한편, 현대 무대에 오르며 변화한 부분도 눈에 띄는데요. 먼저 2020년 윤색 작업을 거치며 보다 소신 있고 당찬 여성 캐릭터들이 탄생했습니다. 조신하고 고분고분한 한국적 여성의 전통적인 이미지를 벗어던졌죠. 무대 연출도 시선을 끕니다. 극 후반부, 곰치네를 뒤덮은 풍파를 무대 위로 쏟아지는 5톤 분량의 거센 비바람으로 선보이며 객석까지 파도가 고스란히 휘몰아치는 듯한 몰입감을 선사합니다.

무엇보다 <만선>은 극작 이후 60여 년이 흘렀음에도 빈부 격차 문제부터 세대 간 갈등까지, 여전히 유효한 주제를 다루며 관객에게 진한 울림을 전합니다. 각 등장인물에 ‘만선’이 갖는 서로 다른 의미와 이를 둘러싼 갈등이 시대를 관통하는 질문을 던지죠.

<만선>은 국립극단 홈페이지와 인터파크 티켓에서 예매할 수 있습니다. 3월 22일부터 24일까지 3일간은 음성 해설, 한국 수어 통역, 한글 자막 해설, 무대 모형 터치 투어, 이동 지원 서비스 등이 제공되는 접근성 회차 공연으로 운영됩니다. 아울러 3월 9일 공연이 끝난 뒤에는 심재찬 연출과 김명수, 정경순 배우가 참석하는 ‘예술가와의 대화’가 진행되며, 매주 목·일요일에는 영어 자막서비스 및 매주 월·금요일에는 한글 자막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국립극단 홈페이지와 SNS 등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