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급히 휴대폰을 들어 셔터를 누르는 마음에 대해 생각한다.
시간을 거슬러 더 오래 붙잡아두고 싶은,
언젠가 아주 그리워하게 될 거란 사실을 단번에 깨닫게 되는 장면들 앞에서.
32명의 문화 예술계 인물들이 휴대폰 사진첩 속에서 소환한
각자의 보석 같은 순간들.

우연히 만난 그림같이 아름다운 순간을 담기 위해 그 시간의 기억을 사진으로 기록하곤 한다. 예술과 함께하는 삶의 여정이지만, 자연이 선사하는 압도적인 풍경은 인간의 창작물 그 이상의 반짝임을 느끼게 하는 듯하다. 더욱이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할 미래를 그리며 보았던 인생 최고의 순간이기에 그 기억은 더없이 값진 보석처럼 반짝인다. 이진(큐레이터)

소중한 사람과 처음 정식으로 약속을 잡은 날. 내가 좋아하는 곳을 다 보여주겠다는 욕심에 동선을 무리하게 짜서 힘든 발걸음을 옮기던 중 꽃밭이 보여 무작정 들어갔다. 힘든 일정에도 묵묵히 따라와주던 그 사람이 꽃을 보고 좋아하는 모습이 유난히 고맙고 소중했다. 최엘비(뮤지션)

“오, 필름 다 썼네” 하며 LA 공항에서 찍은 사진. 한 달간의 미국 여행 끝에 꾀죄죄한 차림으로 그저 집만 떠올리던 순간. 그리 오래전도 아닌데 사진 속 장면이 참 반짝인다. 깨질세라 가방 안에 욱여넣은 LP, 빈티지 액자, 다 쓴 필름, 여행의 기억, 소진된 마음까지도. 김규린(패션 크리에이터)
이 평야가 그리우려나? 마음이 부산해서 눈에 보이는 것이 와닿지 않으면 입속말로 실감, 실감 하고 되뇌었다. 자연을 보면서 경이 다음으로 태곳적 슬픔 같은 걸 느끼는 것 같다고. 아니면 수많은 야수들을 보고 작년에 떠난 우리 집 야수가 그리운 걸지도 모르겠다고 생각했다. 황예지(사진가)

연희동으로 이사한 이래 청소가 매일의 중요한 일과가 되었다. 청소가 지겨워질 때쯤, 벽에 무심히 세워둔 대걸레에 겹친 햇빛의 레이어가 영롱해 보였다. 대체로 ‘메롱’이던 당시의 시간 속 나쁘지 않은 찰나였다. 겨울에 이 사진을 보니 그때가 그립다. 최경주(판화가)

한 번쯤 해외에서 작업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줄곧 품고 있었는데, 지난해 좋은 기회로 구찌 홀스빗 70주년 기념 전시에 참여했다. 밀라노의 작은 스튜디오에 머무르며 약 2주의 시간을 작업하며 보냈다. 전시 설치 후 찍은 이 사진을 보고 있으면, 6월의 밀라노에서 보낸 행복한 순간들이 떠오른다. 이후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었던, 더없이 소중한 기억. 이규한(디자이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