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영을 앞둔 드라마 <혼례대첩>의 촬영이 이어지는 가운데 겨우 짬을 내 만나게 되었어요. 지금 이야기의 어디쯤에 머무는 중인가요? 조이현 딱 중간이요. 앞으로 해온 만큼만 더 하면 됩니다.(웃음) 로운 이제 다시 힘을 빡 줘서 가야죠. 오늘이 한숨 돌렸다가 다시 시작하는 기점이 되는 날이지 않나 싶어요.
어제는 어떤 신을 찍었어요? 로운 필요에 의해 중매라는 일을 도모하던 ‘정우’(로운)와 ‘순덕’(조이현)이 조금씩 서로를 바라보게 되는 시점이에요. 조이현 그렇지만 아직은 서로에게 어떤 마음을 품고 있는지 자각하지 못해요. 입덕 부정기랄까요.(웃음)
예고편만 봐도 정우와 순덕은 꽤 다른 결을 지닌 인물로 보여요. 두 인물의 어떤 점에 집중했나요? 조이현 어린 나이에 남편과 사별한 순덕은 시부모님 몰래 중매 일을 하는데요. 왜 중매를 서느냐는 질문에 이렇게 대답해요. “그냥 어울리는 짝을 맺어주면 너무 좋잖아요. 설레고. 저는 설렐 일이 앞으로도 없고, 있어서도 안 되니까요.” 이 말이 순덕을 가장 잘 설명해주지 않나 싶어요. 배경이 되는 조선시대엔 청상과부가 되었다고 해도 재혼이나 새로운 연애를 꿈꾸기 어렵잖아요. 순덕은 이에 순응하면서도, 또 나름대로 사랑을 추구하는 사람이에요. 로운 정우 역시 순덕과 마찬가지로 사별을 경험하는데, 다만 상황이 좀 달라요. 혼인 당일에 아내인 공주의 죽음으로 혼자가 되거든요. 손 한 번 잡아보지 못하고, 마음 한 번 나누지 못한 채 이별을 경험한 거죠. 그러니까 사랑을 해본 적도, 새로운 사람과 관계를 맺어본 적도 없어 감정적으로는 백지상태에 가까워요. 시대의 사상과 글을 통해 배운 지식으로 채워진 사람이라 좀 딱딱하고 고지식한 면이 많고요. 그렇지만 정우도 순덕처럼 결국은 사랑을 얘기하고 싶어 해요. 마음 한편에는 숭고하고 순수한 사랑을 꿈꾸는 사람이죠. 두 사람은 어쨌든 가는 목표점은 같은데 어떻게 가는지가 확연히 다른 것 같아요.
설명을 듣고 나니 시대를 불문하고 사람이 추구하는 가장 큰 가치는 사랑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로운 물론이죠. 그게 꼭 연인이나 부부 간의 사랑만은 아닐 거예요. 자연이나 동물 혹은 어떤 공간이 될 수도 있고요. 아무튼 사랑 없이 이 세상을제대로 바라보는 게 가능할까 싶어요. 혼자 사는 세상이 아니라 그런가 봐요. 더불어 사는 세상~(웃음) 죄송합니다.
사랑이 가장 이해하기 쉬운 주제였다면, 반대로 받아들이고 표현하기 어려운 지점도 있었을 것 같아요. 조이현 사극은 처음이라 대본을 받았을 때는 그 지점이 가장 어렵게 느껴졌어요. 그런데 막상 순덕이라는 인물에 집중하다 보니 금방 부담이 덜어지더라고요. 그보다는 순덕에게 양아들이 있다는 사실이 조금 놀랍긴 했어요. 엄마 역할은 처음인 데다 아이가 제법 커요.(웃음) 내 아이를 생각하는 마음은 어떤 걸까, 그 지점을 아주 많이 고민했어요. 그런데 제가 워낙 아이들을 좋아해서 촬영에 들어간 이후에는 즐겁기만 했어요.
작품을 통해 다른 이의 삶을 살펴보고 표현하는 경험은 자신의 삶에도 영향을 미치죠. 그런 면에서 정우와 순덕이 살아가는 태도를 보며 배운 것이 있다면요? 조이현 제가 일할 때는 밝아지려고 많이 노력하는 편이에요. 그렇다고 평소에 어둡다는 건 아니고요, 감정을 크게 드러내지 않는 데다 좀 고요해요. 그래서 긍정적이고 밝은 순덕이 되기까지 노력하는 과정이 필요하겠다 싶더라고요. 촬영 전부터 미리 텐션을 올리는 연습을 했는데, 그러다 보니 저라는 사람 자체가 꽤 밝아졌어요. 사실이 변화를 깨닫지 못했었는데 며칠 전에 오래 알고 지낸 친구가 “왜 이렇게 밝아진 거야?” 하고 묻길래, 그제야 순덕이 덕에 나라는 사람이 달라졌구나 싶었어요. 그리고 이 변화가 어색하거나 불편하지 않아서 좋아요. 로운 정우가 관계 맺기에 익숙하지 않아서, 어떤 표현을 할 때 솔직해서 오히려 무례하게 느껴질 때가 있어요. 제가 예전에 그 부분에 대해 고민한 적이 있거든요. 솔직해져야 한다, 솔직하니까 괜찮다 하는 생각으로 살아왔는데, 어느 순간 그게 능사는 아니다 싶은 거예요. 그런 표현이 누군가에겐 상처가 될 수도 있으니까요. 정우를 만나서 그 고민을 다시 꺼내게 됐어요. 정우의 좋은 점 중 하나가 무엇이든 배우고 받아들이려는 자세거든요. 그래서 이야기가 흐르면서 뾰족하던 솔직함이 관계에 해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을 깨닫고 점차 둥글게 만들어가요. 자신의 모난 면을 깨닫기도, 그걸 알고 바로 고치는 것도 되게 어려운 일인데 정우는 그걸 할 줄 아는 사람인 거죠. 그 자세를 배우는 중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