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오랫동안 젠더로 구분되어온 세상의 단단한 편견에 균열이 나기를 기대한다’라는
바람으로 시작한 젠더프리 프로젝트가 어느덧 일곱 번째 여정을 맞았다.
영화 속 남성 캐릭터를 연기하고, 성별의 경계 없이 자유롭게 존재하길 바라는 마음을 전하며
여성 배우들은 각자의 힘을 보태왔다.

변화의 조짐을 발견해 설렐 때도, 정체되는 것 같아 막막할 때도, 이 걸음이 두려울 때도 있었지만 그럼에도 지속할 수 있었던 건 매해 함께하는 얼굴을 마주했기 때문이다. 이들의 마음을 동력 삼아 2024년의 마리끌레르 젠더프리는 8인의 배우와 힘차게 프로젝트를 완성했다. 우리의 걸음이 보다 넓고 다양한 세상에 닿을 수 있을 거라 믿으며.

시도의 힘

김주령

화이트 시스루 셔츠와 골드 네크리스 모두 Ferragamo, 안에 입은 슬리브리스 톱 Gabriela Hearst.

“어차피 그들이 원하는 건 술자리나 인터넷에서
씹어댈 안주거리가 필요한 겁니다.
적당히 씹어대다가 싫증 나면 뱉어버리겠죠.
이빨도 아프고 먹고살기도 바쁘고.
맞습니다! 우린 끝까지 질기게 버티기만 하면 됩니다.”

영화 <내부자들> 이강희 役

블랙 재킷과 팬츠 모두 The Row by MUE, 슈즈 New Balance.

젠더프리 프로젝트에 참여한 소감을 묻고 싶다.

나는 늘 도전을 두려워하면서도 내심 맞이하기를 기다리고, 끝내 즐기는 편이다. 그래서 제안을 받았을 때 단번에 “네, 할게요”라고 답했고 역시나 두렵지만 그만큼 즐거웠다. 사진 촬영을 하면서는 연기할 때는 인식하지 못한 나의 어떤 면을 발견하는 재미가 있었고, 영상 촬영은 내가 아닌 다른 배우, 그것도 남성 배우가 했던 걸 연기하는 게 꽤 어려운 과제였지만 하면서 묘한 쾌감을 느꼈다.

영화 <내부자들>의 한 장면을 택했다. 관객의 분노를 샀던 ‘이강희’(백윤식)의 그 대사 말이다.

이 대사를 보자마자 단번에 ‘어? 이거 해야겠다’ 싶었다. 그간 주로 발산하는, 기운이 센 역할을 맡아온 터라 정적으로 흐르는 말 안에 인물의 감정이 내밀하게 숨겨진 대사를 도전해봐도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작품에 임하면서는 어떤 때에 도전 정신이 발현되는 편인가?

현장에 갈 때 무언가를 정해놓지 않는다. 그날의 환경에 따라, 상대 배우의 액션에 따라 수없이 변수가 생기는 게 현장이니까. 그렇게 예상하지 못한 상황의 연속 속에서 순간의 느낌을 믿고 해버리는 것이 도전 아닌 도전이지 않나 싶다.

연극 무대를 시작으로 영화와 드라마 등 매체를 오가며 다양한 인물로 분해왔다. 그 과정에서 배우로서 느낀 가장 큰 갈망은 무엇이었나?

맡은 인물에 대한 서사가 더 깊거나 다양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자주 했다. 물론 어떤 작품이든 한 이야기 안에 여러 인물이 모여 관계를 맺기 때문에 한 사람 한 사람을 세 세하게 조망할 순 없다. 그럼에도 내가 그려볼 수 있는 범위가 어쩔 수 없이 제한될 때 아쉽긴 하다. 한번은 이야기의 외곽에 있는 인물들을 위한 이야기를 외전의 형태로 따로 만들면 어떨 까 상상해본 적도 있다.

예전에 비해 여성 배우가 그려낼 서사가 더 다양하고 넓어졌다지만, 모든 배우가 이를 체감하는 데까진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 같다.

확실히 전에 없던 여성 캐릭터들이 많이 등장하는 것 같고, 새로운 흐름이 읽히긴 한다. 그런데 그게 내가 맡는 역할까지 당도했는지를 생각해보면 아직은 직접적으로 경험하진 못한 것 같다. 그렇지만 새 물결이 이는 건 분명하니, 나에게도 기회가 생기지 않을까 하는 기대는 품고 있다.

만나고 싶은 인물이나 서사가 있다면?

중년의 로맨스. 사랑이라는 게 20 ~30대에 국한된 마음이 아닌데, 그 이상의 나이에선 사랑 이야기를 접하기가 어렵다. 더 다양한 방식으로 사랑을 다룰 수 있지 않을까 싶고, 그런 작품을 만나기를 기다린다.

더 다양한 이야기가 탄생하기 위해 필요한 건 무엇이라 생각하나?

하고자 하는 사람들. 제작자, 감독, 배우까지. 기존에 없던 것일수록 함께하는 사람들이 주는 에너지가 꼭 필요하다. 너무 큰 부담이 되지 않는 선에서 작은 규모라도 계속해서 시도되기를 바란다. 그렇게 결과물들을 쌓아나가는 게 새 물꼬를 트기 위해 돌을 하나씩 치우는 일과 같은 거라 생각한다.

그 시도에서 배우가 보탤 수 있는 힘은 무엇일까?

어떤 작품이 든 온 마음을 다해 그 인물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최선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결국 그 인물의 주체는 연기하는 배우이니까. 새로운 캐릭터를 만나는 건 연애와 같다. 가까워지기 위해 나와의 접점을 찾고, 이해를 못할 경우엔 어떻게든 받아들이려 다른 방법을 써보기도 하고, 마음에 안 드는 부분은 그럴 수도 있겠다는 너른 마음을 가져보려 애쓴다. 그러다 보면 어느샌가 닮아 있는 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