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이란?

우리나라 법에서는 제주 4·3을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그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일제강점기가 끝나고 한반도의 남쪽은 미군이, 북쪽은 소련이 통치하던 때, 제주도에서는 남조선노동당(남로당) 제주도당을 중심으로 공산주의 정당이 활발히 활동했습니다. 이들은 외세에 의해 한반도가 둘로 쪼개져서는 안 되며, ‘통일 독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죠. 반면 미군과 이승만 정부는 남한 단독 정부를 빠르게 수립하고자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제주는 ‘빨간 섬’으로 낙인찍혔고, 미군과 이승만 정부는 제주도민 전체를 ‘반정부 폭도’로 명명하며 학살 작전을 펼치기에 이릅니다. 해당 작전으로 당시 제주도민의 10%인 약 3만 명이 목숨을 잃었으며, 희생자의 유족과 후손은 연좌제로 오랜 시간 감시당했습니다. 제주 4·3은 7년 7개월에 걸쳐 일어난 이 모든 일을 아우르는 이름입니다.
커밍홈
<커밍홈>은 KBS 제주총국에서 제작한 제주4·3 76주년 특집 다큐멘터리입니다. 미국에 사는 4·3 유족 이한진 씨가 76년 만에 고향을 찾는 이야기를 담았죠. 그는 12살 때 4·3으로 어머니와 누나를 잃었고, 큰형과 작은형도 행방불명 되었습니다. 이후 뉴욕 브루클린에서 마트를 운영하던 한진 씨는 88세가 되던 해 작은형의 유해를 확인했다는 소식을 듣고 제주로 향합니다.
방영 일시 4월 3일 오전 10시 50분 KBS1 (홈페이지에서 무료 다시보기 제공)
그날의 딸들

<그날의 딸들>은 제주 4·3의 구술 작가로 활동 중인 ‘양경인’과 먼 고국을 떠나 한국으로 유학 온 르완다인 ‘파치스’가 함께 한 여정을 따라갑니다. 두 사람은 모두 대학살 생존자의 딸입니다. 경인의 어머니는 제주 4·3을, 파치스의 어머니는 르완다 제노사이드를 경험했죠. 영화는 서로의 과거를 보듬고, 함께 내일로 나아갑니다.
개봉일 2024년 4월 3일
돌들이 말할 때까지

<돌들이 말할 때까지>는 제주 4·3 수형인들의 세월을 담은 다큐멘터리입니다. 영화는 4·3 이후 76년을 살아낸 다섯 할머니들의 증언을 생생하게 그리고, 아름다운 제주의 풍광을 사려깊게 비춥니다.
개봉일 2024년 4월 1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