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1mcmafamh05-thum

 

1 컬렉션이 끝나면 바로 온라인 숍이나 매장에서 팔기

“개념을 바꿔야 해요. 시즌제에서 과감히 탈피하는 거죠.” 지난 시즌, 크리스토퍼 베일리가 전 세계 버버리 직원들에게 설파한 내용이다. 급진적인 디지털 시대에 맞춰 컬렉션을 생중계하는 데 앞장섰던 버버리가 이번에도 참신한 플랫폼을 구축해낸 것. ‘See It Buy It’이라고 명명된 이 파격적인 시스템은 하이패션을 ‘판매’하는 데 매우 적합한 제도였고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이번 시즌 마이클 코어스, 타미 힐피거, 랄프 로렌 등 거대 레이블이 줄줄이 이 흐름에 동참했다.

 

타미힐피거는 이 시대의 가장 핫한 아이콘이자 소녀들의 뮤즈로 부상한 지지 하디드를 앞세워 캡슐 컬렉션 형태로 ‘Fall Collection’을 선보였다. 이 영민한 디자이너는 패션위크 기간 내내 옐로캡을 비롯한 뉴욕 곳곳(!)에 지지 하디드가 등장하는 캠페인을 뿌렸고, 쇼가 끝나자마자 출시된 컬렉션 제품이 모두 팔려나가며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

“See It Buy It 시스템을 도입한 브랜드들은 프런트로를 더욱 신경 쓸 수밖에 없어요. 판매로 직결되는 옷을 입은 셀러브리티들이 걸어다니는 마네킹이나 다름없거든요.” 한 마케팅 전문가의 분석처럼 랄프 로렌, 마이클 코어스, 톰 포드 등 유수의 디자이너들은 이번 시즌 유독 초호화 셀러브리티 군단을 프런트로에 모셔온 듯했다. “당장 쇼핑하러 가야겠네요!” 마이클 코어스 쇼가 끝난 후 줄리언 무어가 한 인터뷰에서 던진 이 유쾌한 코멘트가 See It Buy It 시스템의 성공을 대변하는 것은 아닐까.

 

 

2 콜라보레이션으로 이슈 만들기

판매로 직결되는 또 하나의 키워드는 바로 ‘이슈’다. ‘SNS를 활용해 전 세계에 빠르게 홍보하기 위해서는 누구보다 파격적인 이슈를 양산해야 한다’는 <뉴욕타임스>의 예측은 적중했다. 이슈메이커로 유명한 알렉산더 왕은 명성에 걸맞게 올봄 아디다스 오리지널스와 초특급 콜라보레이션에 나서며 승부수를 띄웠다. 아디다스 오리지널스와 합작한 룩을 입은 모델들의 피날레로 깜짝 발표를 시도한 왕은 소호 스토어 앞에 거대한 팝업 트럭을 세워놓고 ‘한정 수량’이라는 달콤한 전략까지 세웠다. 결과는? 힙스터를 자처하는 패피들이 스토어 앞에 긴 줄을 이루었다는 후문. 미니언즈와 합작한 라인을 한정 출시한 바하 이스트 역시 좋은 성과를 얻었다.

 

3 런웨이 쇼는 무조건 독특한 컨셉트로 무장하기

이뿐인가. 전형적인 런웨이를 거부하며 독특한 방식의 컬렉션을 선보이는 브랜드도 늘고 있다. 라퀴엘 알레그라와 어셈블리 뉴욕, 이 개성 넘치는 두 레이블이 힘을 합쳐 ‘콜라보레이션’이 아닌 공동의 라인(라퀴엘 알레그라 × 어셈블리 뉴욕)을 선보인 것이 대표적. 신상 룩을 입은 모델들이 서로 경쟁하듯 농구하는 컨셉트로 꾸민 쇼의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오프닝 세레모니 역시 미인 대회를 모티프로 정치를 풍자한 컬렉션으로 우피 골드버그 가 깜짝 등장하며 이슈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예술도 좋지만, 패션을 소비(consume)하는 고객을 잡기 위해서는 매번 새로운 시도를 해야 해요.” 어셈블리 뉴욕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그레그 아마스의 말처럼 상업성을 포기할 수 없는 디자이너들의 진화는 쭉 계속될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