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한 해 우리를 행복하게 한 여성 캐릭터를 꼽자면 말이 길어질 것 같지만, 적어도 이 인터뷰 지면이라면 분명하게 남겨도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2017년은 그 어느 때보다 다층적이고 주체적인 여성 캐릭터들이 빛난 해다. 온 가족이 모이는 저녁 8시 주말드라마에서 ‘결혼 인턴제’를 주장한 변해영(이유리, KBS2 <아버지가 이상해>), 장르물에서 유난히 민폐형으로 소비되던 여성 캐릭터를 진일보시킨 형사 한여진(배두나, tvN <비밀의 숲>), 여성 연쇄 살인범을 쫓는 슈퍼히어로 도봉순(박보영, JTBC <힘쎈여자 도봉순>), 계층 사다리를 오르내리며 각자의 욕망에 충실했던 우아진과 박복자(김희선, 김선아, <품위있는 그녀>)까지. 이 매력적인 여성 캐릭터들의 대미는 배우 정려원이 연기한 안티히어로 ‘마이듬’ (KBS2 <마녀의 법정>)이 장식했다.
출세를 위해서라면 수단을 가리지 않는 검사 마이듬이 뜻하지 않게 여성아동범죄전담부에 투입되면서 펼쳐지는 드라마 <마녀의 법정>. 마이듬은 몰카 범죄의 피해자가 되기도 하고, 일련의 성범죄 사건을 지나오며 우리가 발 딛고 있는 세계의 다른 면을 직시한다. 지난 두 달간 마이듬으로 살았던 배우 정려원 역시 역할 덕분에 새로 보게 된 것들이 많다. 연말 ‘2017 KBS 연기대상’에서 최우수상을 받으며 그녀는 마이듬다운 수상 소감을 남겼다. ‘안녕하십니까’로 시작하는, 힘차고 떨리는 목소리로. 옷차림과 표정, 발언의 단어와 음절에도 의미를 확대 재생산하는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한가운데에 서서 성폭력 문제를 공론화한 그녀의 결단과 용기가 얼마나 크고 무거웠을지 차마 짐작조차 못 하겠다. 하지만 분명한 건 정려원은 자신이 출연한 작품이 어떤 의미와 목적을 가지고 만들어졌는지 정확히 아는 배우라는 사실이다.
시상식 이후 자신의 SNS 계정에 남긴 선연한 문장처럼 배우 정려원은 단정한 얼굴로 스튜디오에 들어섰다. 안부를 묻는 인사에서 그녀는 아직 마이듬을 떠나 보내지 못했다고 말했다. “보통 작품을 끝내면 그림 그리고 글 쓰면서 일상으로 돌아왔는데 이번 작품만큼은 애써 이듬이를 밖으로 내보내지 않아도 좋겠다 싶어요. 목표 지향적인 성향이나 해야 할 말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건 살면서 필요한 태도잖아요. 저 자신이 목표가 있어도 좀 빙빙 돌며 한 눈을 파는 편이라(웃음) 이듬이가 감정에 지배당하지 않고 해야 할 말을 냉정하게 전하는 점도 좋았고요. 저는 감정이 앞서는 사람이라 화를 내려 하다가도 그 전에 마음속으로 화를 다 내고 다음 스텝에 가 있거든요. 그래서 결국 화가 아니라 눈물을 먼저 보이죠(웃음).” 이제는 보내기 아쉬울 정도로 사랑하게 됐지만 그녀에게 마이듬은 쉬운 선택이 아니었다. “왜 놀이터에 뺑뺑이라고 있죠? 빙글빙글 도는 놀이 기구요. 예전에 저는 이 뺑뺑이의 회전 속도가 그다지 빠르지 않다고 느꼈어요. 언제든 중간에 올라탈 수 있다고 생각했죠. 한데 어느 순간부터 이 뺑뺑이가 엄청 빨리 도는 거예요. 미디어 플랫폼은 다양해지고, 그에 발맞춰 이 판이 빠르고 치열하게 돌아가는데 도무지 끼어들지를 못하겠더라고요. 전에는 드라마를 보면 ‘나라면 더 잘할 수 있을 텐데’라고 생각했다면 ‘내가 저걸 어떻게 해?’로 바뀌었고요. 대사 많고 감정이 널뛰는 마이듬이 부담스러웠지만 이 작품을 고사하고 나면 앞으로 그 어떤 역할도 엄두를 내지 못할 것만 같았어요. 그래서 붙잡았어요. 이거 못 하면 그 어떤 것도 할 수 없다는 두려움으로.”
Ⓒ MARIECLAIREKOREA 사전동의 없이 본 콘텐츠의 무단 도용, 전재 및 복제,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