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브 콘서트가 꽃피고 신인 배우들이 발돋움하던 곳, 서울 대학로의 소극장 학전이 33번째 생일인 내일(15일), 문을 닫습니다. 학전은 1991년 3월 15일, ‘아침이슬’, ‘상록수’ 등을 부른 김민기 대표가 문을 연 공간입니다. 배울 학(學)에 밭 전(田)을 쓰는 극장 이름에는 ‘문화예술계 인재들의 못자리’를 만들겠다는 뜻을 담았죠.

실제로 학전은 이름처럼 다양한 문화예술계 인재가 날개를 펼치는 장이 되었습니다. 서태지와 아이들의 등장 이후 갑작스레 설 자리를 잃었던 고(故) 김광석, 안치환, 동물원 등 통기타 가수들이 학전에서 무대를 이어 갔고, 가수 윤도현유리상자의 첫 공연도 이곳에서 열렸습니다. 1994년 이곳에서 처음 막을 올린 한국 최초의 라이브 연주 뮤지컬, <지하철 1호선>은 스타 배우의 등용문이었습니다. 매 공연 오디션으로 새로운 배우를 선발했죠. 또한 만성적인 재정난에도 배우에게 최저 출연료를 보장하고, 흥행 실적에 따라 보너스를 지급하는 제도를 도입한 것으로도 유명했습니다. 덕분에 김윤석, 설경구, 장현성, 조승우, 황정민부터 이정은, 김무열, 안내상 등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배우가 빛을 볼 수 있었습니다.

학전은 큰 수익이 남지 않는 어린이·청소년 공연도 꾸준히 만들어왔습니다. <우리는 친구다>, <고추장 떡볶이> 등 꾸준히 학전 무대에 올랐던 어린이 공연은 아이의 눈높이에서 바라본 현실과 고민, 꿈을 이야기하는 드물고 귀한 자리였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김 대표는 “오로지 해야 할 일”이라는 생각으로 묵묵히 학전에 헌신해 왔지만, 계속되는 재정난과 위암 진단이 겹치며 결국 폐관을 결정했습니다. “내가 없으면 학전은 없다”는 김 대표의 뜻에 따라 오늘(14일) ‘학전 어게인 콘서트’가 끝나면 이제 학전이라는 이름은 역사 속으로 사라집니다. 다만 극장 공간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며,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해당 공간을 이어받아 운영하고자 준비하고 있습니다. 위원회 측은 공간 운영 방식을 결정하고 극장을 재정비한 뒤, 7월 이후 재개관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