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펜하이머>

크리스토퍼 놀란, 2023

민용준

영화 저널리스트

프리랜서 영화 저널리스트이자 대중문화 칼럼니스트. 13인의 감독과 나눈 대화를
엮은 인터뷰집 <어제의 영화. 오늘의 감독. 내일의 대화.>를 펴냈다.

 

“나는 이제 죽음이요. 세상의 파괴자가 되었다.(Now I am become death, the destroyer of worlds.)”

힌두교 경전 <바가바드 기타>에서 빌려왔다는 이 구절은 이제 크리스토퍼 놀란의 <오펜하이머>를 상징하는 언어가 된 것 같다. 인류 최초의 핵폭발 실험으로 알려진 트리니티 실험을 재현하는 순간, 관객에게 진공의 체험을 선사하듯 완전히 사운드를 소거한 상영관 내에서 나직이 들려오는 이 독백 내레이션은 영화의 전후를 가르는 기표로서 관객의 뇌리에 삽입된다.

이는 실제로 오펜하이머가 1965년 TV에 출연해 언급한 내용을 영화적으로 인용하고 반영한 결과다. 오펜하이머는 해당 TV 연설에서 핵폭발 실험에 성공한 당시 이 문구를 떠올렸다고 고백한 바 있다. <오펜하이머>에서 이 대사는 핵폭탄이 개발된 세계의 전후 역사를 구분하는 언어로 제시되는 동시에 오펜하이머라는 개인의 명망이 폭발하고 추락하는 대단원의 전조 같은 복선으로 자리한다.

<오펜하이머>는 미국의 핵 개발 프로젝트인 ‘맨해튼 프로젝트’에서 원자폭탄 개발을 주도한 오펜하이머에 관한 이야기지만, 그의 명성을 끌어내린 야심가 스트로스에 관한 영화이기도 하다. 핵분열과 핵융합을 컬러와 흑백의 대비로 구별한 장면은 각기 다른 관점의 세계를 살아가는 오펜하이머와 스트로스의 세계를 교차해 보여주며 거듭 진전된다. 우주 만물의 신비를 들여다보고 그 진리를 밝히고자 하는 과학자의 야망과 자신의 권위를 드높일 경력에 천착해 모든 정황과 관계를 판단하고 재단하려는 정치가의 야심은 한 시대와 한 세계의 역사를 가늠하는 주요한 바늘이자 태엽처럼 작동한다. 공통의 시간 속에서 교차하는 이질적인 관점의 세계는 한 세계를 이루는 기이한 분열과 융합의 역사로서 맞물려 돌아간다.

빛은 입자이기도 하고 파동이기도 하다는 양자역학의 증명은 역설적이지만, 불가지론의 절대적 신비를 강화하는 역설이다. 자연적 신비의 근원을 알 수 없지만 그 신비가 실존한다는 증명은 결국 인간이 다다를 수 없는 진실의 권위를 보다 두텁게 만든다. 이런 의미에서 <오펜하이머>는 공존할 수 없을 것 같은 상반된 관점이 평행선을 이루듯 한 세계 혹은 한 인간으로 수렴하고 공존한다는 사실을 양자역학처럼 반영하고 응용한 영화로 보인다. 과학자로서 가상의 이론을 실제로 증명하고 목격했다는 성취감과 유례없는 살상력을 가진 무기를 만들어냈다는 죄책감이 공존하는 오펜하이머의 태도는 모순적이지만, <오펜하이머>는 한 인간의 내면에 양가적 입장이 존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영화적으로 증명하는 것만 같다.

트리니티 실험을 마주한 오펜하이머의 모습은 이런 의미에서 상징적이다. 작은 원형 창문으로 거대한 핵폭발의 순간을 목도하는 오펜하이머는 거대한 빛에 둘러싸인 완전한 침묵 속에서 종교 경전의 경구를 떠올린다. 거기서부터 영화는 질주하기 시작한다. 정확히 1시간 59분의 러닝타임에 다다라 재현되는 트리니티 실험은 클라이맥스가 아니라 서막이다. 한 인간의 모순이 분열하고 두 인간의 상반된 야심이 융합된 세계의 풍경을 스크린에 세워놓는 야심, 그리고 이를 목격할 관객을 끌어들이는 중력의 형성, 영화 역사상 가장 광활한 야심의 순간. 그때 나는 이 속삭임에 압도됐다. “나는 이제 죽음이요. 세상의 파괴자가 되었다.”

 

 

 

<애스터로이드 시티>

웨스 앤더슨, 2023

손시내

영화평론가

영화 웹진 <리버스>의 필진이자 서울국제여성영화제의 프로그래머.
2016년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에서 신인평론상을 받았다.

 

“지금도 이 연극이 이해가 안 돼.” 한창 진행 중인 극 한복판에서 배우가 읊조린다. ‘오기’라는 등장인물을 연기하는 이 배우의 이름은 존스 홀. 미국 서부의 한적한 도시를 배경으로 난데없이 외계인이 등장하는 이상한 연극에 출연 중이다. 가뜩이나 기묘한 내용인데, 외계인이 두 번째로 도시를 방문한 장면부터는 한층 더 난장판이다. 중얼거리던 배우는 곧 뒤돌아 바위 벽을 열고 세트장 밖으로 나간다. <트루먼 쇼>(1998)를 떠올리게 하는 대목이다. 이후엔 흑백 화면에 백스테이지의 풍경이 담긴다. 배우는 연출가를 붙잡고 지금 이게 맞는 거냐고 따져 묻고는 발코니로 나간다. 여전히 이 모든 게 이해가 안 된다는 얼굴로. 아마도 담배를 한 대 피우며 바람이나 쐬고 싶은 모양이다. 그런데 맞은편 발코니에 중세 시대 복장을 한 여자가 서 있다. 원래 오기의 아내 역으로 캐스팅됐던, 대본은 함께 읽었으나 결국 연극 본편에 출연할 수는 없게 된 배우다. 두 사람은 짧은 인사를 나눈 뒤 언젠가 그들이 함께 맞춰보았던 대사를 복기한다. 병으로 세상을 떠나게 될 아내가 남편과 아이들을 걱정하며 마지막 대화를 나누는 듯한 장면이다. 담담한 말투에 작별의 내용이 실릴 때, 왠지 모르게 뭉클해진다. 의심할 수 없는 감정들이 여기에 있는 것만 같다. 그럴 땐 여지없이, 역시 배우들이란 대단하군, 하고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마주 선 두 사람, 흑백의 무드, 1950년대 종군 사진작가(오기의 직업)의 복장과 중세 시대의 화려한 드레스, 후경의 반짝이는 간판들, 때맞춰 내리는 눈송이. 예쁘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는 장면이다. 게다가 복기를 끝낸 뒤, “좋은 회상 신인데 왜 들어냈을까요?” “러닝타임 때문에?” 하는 무뚝뚝한 대화가 오갈 땐, 어떤 허구적 형식에라도 삶의 진실한 어느 한 부분이 기어이 담기고야 만다는 사실을 떠올리게 된다. 이 장면이 불러일으키는 감흥을 이렇게 정리해도 큰 무리는 없을 것이다. 예술은 가짜를 통해 진짜를 말한다고 누군가는 이야기한다. 예술의 형식에 대한 꽤 근사한 정의라고 생각한다. 어떤 예술 작품들은 이러한 허구적 양식을 자의적으로 언급하기도 한다. 그게 때로 짓궂은 장난이나 관객과 벌이는 게임처럼 발현되기도 하는 걸 보면, 재밌으면서도 덩달아 심술이 난다. 어디까지가 무대고, 어디부터가 진짜인지 맞혀보라는 듯한 이죽거림에 굳이 응하고 싶지 않다가도 나도 모르게 거기에 골몰하게 될 때면 짜증도 난다.

이런 와중에 만난 〈애스터로이드 시티〉는 오랜만에 개운하고 뭉클했다. 이 영화가 이해하는 삶이란 여러 허구의 총합보다 훨씬 큰 것이면서, 동작과 동작 사이에 잠시 머물다 갈 만큼 순간적인 것이다. 그러니 굳이 게임이나 퍼즐 같은 걸 만들 이유도 없을 테지. 그 어떤 이죽거림도 없이 우주를 동경하는 아이들처럼 영화 만들기에나 매진하는 사람의 영화처럼 보였달까. 영화 속 연극에 등장하는 인물들과 그들을 연기하는 배우들 사이의 유기성, 무대와 백스테이지의 관계, 과거와 현재와 미래에 관한 보편적 이해. 〈애스터로이드 시티〉에선 이 모든 것이 명확히 정리할 수 없는 방식으로 돌아간다. 아마 그건 인간이 좀처럼 이해하기 어려운 우주적 방식이기 때문일 터다. 모든 일이 운명이자 예외인 세계. 〈애스터로이드 시티〉가 보여주는 허구의 형식들은 ‘삶’을 정말로 커다란 무언가로 이해해보기 위한 가슴 뭉클한 노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