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답은 없어도 리스크를 줄이는 선택은 분명히 있다. 직장생활에서 누구나 맞닥뜨리는 곤란한 상황에서 어떤 선택을 하는 것이 현명할까?
매주 월요일이면 팀원들은 지난주에 진행한 업무를 공유한다. 동료 K는 지난 주에 처리하지 못한 업무를 이번 주에 꼭 마무리하겠다고 했다. 그리고 한 주가 지났다. K는 이번에도 그 업무를 마무리하지 못했다고 한다. 일이 진행되지 않으니 함께 일하는 동료들에게 민폐다. 능력을 인정받는 K였던 만큼 동료들은 크게 실망했다. 누구나 업무의 진행이 더딜 때가 있는데, 업무 능력이 부족해서라기보다는 번아웃 상태인 경우가 더 많다. 실제 직장인 중 85퍼센트가 번아웃 증후군을 경험한다고 한다. 이때는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한다.
우리의 뇌는 용량이 한정돼 있어서 꽉 차 있으면 새로운 것이 들어오지 못한다. 몸을 위해 휴식이 필요한 것처럼 뇌 또한 가끔씩은 비울 필요가 있다. 문서의 같은 내용을 반복해서 보고 있거나 늘 하던 업무인데도 처리하는 데 평소보다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고 느끼는가? 이 신호를 무시하지 말 것. 나의 뇌가 쉬어야 할 때라고 신호를 보내는 것이다.
휴가를 내기가 여의치 않다면 근무시간 중 점심시간이라도, 퇴근 후라도 쉴 수 있을 때 최선을 다해서 쉬어야 한다. 워커홀릭으로 소문난 후배 D는 점심을 먹을 때도, 퇴근 후에도 수시로 이메일을 체크하고 일과 관련된 연락에 회답한다. 그러면서도 일 진행 속도는 느린 번아웃 증후군을 보이고 있는데도 중독인지 휴대폰을 손에서 놓지 못한다. 쉴 때만큼은 억지로라도 업무와 관련한 생각을 내려놓는 버릇을 들여야 한다. 연차 휴가도 절대로 아껴선 안 된다. 회사에 휴가 제도가 있는 건 일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휴식을 취하라는 취지다. 누구의 눈치도 보지 않고 푹 쉬자. 그리고 돌아왔을 때, 그때가 바로 달려야 할 때다. 최선을 다해 쉬면 능률이 오른다. 이 패턴을 잘 유지해야 지치지 않고 오래 달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