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왼오바도즈 예술가 음악가 앨범

<P.O.E.M. II> 앨범을 어떻게 소개하고 싶나? 생각을 더 할 수 있게 만드는 앨범. 지금은 어떤 문제에 대해 생각을 깊게 하거나 관심을 갖기 힘든 시대인 것 같다. 뭐든지 금방금방 지나가잖아. 조금 더 주위를 둘러볼 시간이 되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으로 만들었다.

앨범 커버의 생물들은 어떤 의미인가. 고생물들이다. 유행이 빠르게 변하고 그 순간의 유행이 또 유행이 되는 시대에 살고 있는데 내가 하는 음악 장르는 1980~90년대에 미국 동부를 기반으로 유행한 붐뱁이다. 나스나 제이지가했던. 요즘엔 ‘뉴스쿨’이라고 ‘얍얍’거리고 ‘GRRR-’거리는 래퍼들이 많은데 ‘너희가 하는 것도 멋있긴 한데 내가 하는 붐뱁이 흐름으로 봐선 멸종하다시피 했지만 나는 그 멋진 걸 한다’는 것을 고생물로 표현했다. 가치 있는 것은 변함없이 소중하다는 걸 보여주고 싶었다. 내 아이디어다.

‘Foolish Heart’에 ‘내 진심은 그렇게 이용되지 이용되지 이용되지 이용되거나 이용하거나 오용되거나’라는 가사가 있다. 해설한다면. 우리 아버지는 항상 받는 데 익숙해지지 말고 줄 수 있으면 주는 사람이 되라고 가르치셨다. 그렇게 살려고 노력했는데, 주변 사람들이 내 그런 모습에 익숙해져서 당연하게 받아들여 소중히 여기고 감사하는 마음을 잃더라. 내가 진심으로 하는 행동을 이용하는 사람도 있었다. 사실 이 노래 가사는 여성들에게 진심으로 대했을 때 그 진심이 온전하게 받아들여지지 않은 적이 많아 쓴 거다. 흔히 ‘넌 래퍼니까 주변에 여자가 많을 거야’라고 생각한다. 누군가 어디 있느냐고 물으면 난 항상 스튜디오에 있으니까 나 보고 싶으면 여기로 오라고 하는데 그게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지지 않을 때가 많더라. 내가 보여준 이미지도 있겠지만 래퍼라는 데서 오는 편견이 더 많은 것 같다.

‘Pretty Jane’의 마지막에 나오는 일본어는 누구의 목소리고 어떤 메시지를 담고 있나? 다큐멘터리에서 본 한 일본 활동가의 목소리다. 정부에 무언가를 요구하고 그것을 위해 좀 더 노력하고 힘쓰자는 내용이다. 이 부분은 나중에 한국이 법적으로 지금보다 나아지면 당당하게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다른 사람의 목소리를 빌려서 한 거다.

옳은 길을 모르고 혼란스럽지만 좋은 방향으로 변화하고 싶다는 마음이 앨범 전반에 흐른다. 그런 면에서 가장 진심을 담은 곡이 ‘Holy’가 아닐까 싶은데. 맞다. 곡마다 분위기를 잡고 감정을 표현했다면 ‘Holy’는 아무런 부담이나 컨셉트 없이 진심만을 담아 그냥 뱉었다. 모두가 답을 원하고 손가락질하는데 당신이 똑바로 살고 있지 않으면 그 모든 행위가 당신에게 무슨 의미가 있느냐고. 당신에게 실질적으로 피해가 있거나 이득이 없는 거라면 거기에 시간을 허비하는 이유는 무어냐고. 나는 내 직종과 직결되는 부분에 대해 꼬집고 이야기하는데 누군가는 “래퍼들은 항상 불평불만을 내뱉으면서 왜 정치적, 사회적으로 문제가 생겼을 때는 조용히 있느냐”고 조롱하기도 한다.

그런 질문을 직접적으로 하는 사람들이 있나? 힙합 커뮤니티 내에도 아주 많다. 허탈하다. 난 그걸 늘 이야기해왔거든. 얼마 전 전두환이 재판받을 때나 이명박이 출소했을 때, 그 일이야말로 실질적으로 대한민국 온 국민이 피해를 받은 부분이라고 생각하거든. 사람들은 그에 대해선 별 영양가 있는 말을 하지 않는다. 내 삶이 변화하려면 거기서부터 바꿔나가야 하는데 자극적인 연예계 이슈에만 더 신경 쓰는 것 같다.

어제도 한국에서 ‘공인’의 의미를 묻는 내용을 인스타그램에 올렸다. 뭐라고들 답변하던가. 옹호하는 글이 많긴했다. 확실한 정보를 토대로 이야기하기 시작하면 죽일 듯이 악플을 달던 헤이터들이 소라게처럼 사라진다. 본인이 확신이나 지식이 없고 나만큼 무언가를 위해서 싸우려는 자세를 가진 게 아니라면 긁어 부스럼 만드는 일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 일의 핵심은 단순히 손가락질을 하는 대중이 아니라 더 복잡하고 정치적인 거대한 시스템으로 인한 것이란걸 모르지 않을 텐데. 그들이 짠 큰 판을 번영시키는 소비자가 없었으면 그렇게 안 됐을 거다. 소비하는 사람들이 ‘이건 이렇다더라, 저건 저렇다더라’ 하고 무분별하게 소비하니까 기형적인 체제가 만들어진 것이다. 모두 자신이 소비하는 방식을 한 번 더 생각해봤으면 한다. 내가 이것을 소비함으로써 어떤 일이 생길지 잘 이해할수록 자신들의 권리를 찾게 되고 그러면 위에서도 흔들리기 시작할 거다. ‘너 앞으로 TV에 나와서 대중의 사랑으로 돈 벌 생각하지 마라’라고 말하는 데 몰두할 게 아니다. 이미 죽은 사람들에게 몽둥이질 해봤자 뭐하나. 그것 말고 자정이 필요하다.

이번 앨범에는 피처링이 별로 없다. 그런 면에서 좋아하는 사람들이 더 많았을 것 같다. <P.O.E.M. II>의 전작인 <P.O.E.M.>이 예외고 내 음악에는 원래 피처링이 별로 없다. 좋아하는 아티스트도 많지 않고 친한 사람도 별로 없다. 내가 좋아하는 분들은 다 바쁘던 시기이기도 했다.

그럼에도 참여한 몇 명의 피처링 아티스트가 있다. 내가 존중하는 사람들이다. 챙스타는 아이비리그 출신답게 아주 똑똑하다. 가끔 내가 서툰 텍스트로 내 의견을 SNS에 써서 오해가 생기는 경우가 많은데 챙은 잘 표현한다. 뭐가 옳고 그른지 잘 모를 때 그 친구에게 물어본다. ‘Pretty Jane’에서 그 친구의 생각을 사람들에게 좀 더 들려주고 싶었다. 영웨스트는 같은 메킷레인 멤버인데 그가 참여한 곡만 이번 앨범에서 요즘 스타일이라고 할 수 있는 곡이다. 한국에서 ‘뉴스쿨’ 하는 사람 중 사운드와 곡의 무드, 스타일을 제일 잘 깨우치고 있는 친구인데 안타까운 점이 있다면 한국에선 시기적으로 너무 빠르다. 10년 뒤에만 태어났어도 난리 났을 텐데.

2014년에 첫 믹스테이프를 냈고 이후로 많은 작업물을 선보였다. 작업을 하나씩 끝마칠 때마다 부족한 부분을 메꿔갔을 텐데, 이번 앨범에서는 전작에 비해 어떤 부분을 특히 신경 썼나? <P.O.E.M.>은 ‘전진적인 사상의 조각들’의 영문 이니셜을 따서 만든 제목이다. 이름 따라 간다고, 그걸 만들 때 무척 긍정적이고 열정적이었기 때문에 앨범도 행복하고 밝은 분위기다. 그 이후 정신적으로 한 단계 거치며 불안정한 상태로 일련의 일을 겪었다. ‘난 왜 이렇게 두 다리 뻗고 자겠다 싶으면 문제적이지?’ 싶어서 <Problematic>이라는 앨범을 냈는데 그걸 내고 더 문제가 많은 삶을 살았다. 처한 상황에서 도피하려고 만든 것들이 나를 더 힘들게 했다. 개선하려고 변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회사, 가족 문제 등 내적으로 힘든 일이 많았다. 그러다가 이번에 <P.O.E.M. II>를 만들면서는 온전히 내가 원하는 사운드들을 다시 찾았고, 그 사운드로 앨범을 만들었다. 이전 앨범들에 비해 MSG가 첨가되지 않았다. 이게 나인 것 같다. <P.O.E.M.>이라는 앨범의 맥락에서는 이게 나라고 할 수 있다.

오왼오바도즈 예술가 음악가 앨범

‘남들이 뭐라던 난 그냥 내 걸 한다’는 느낌의 가사가 많은데 <쇼미더머니>에는 세 번이나 나갔다. 사람들에게 끊임없이 증명해 보이고 싶은가? 첫 번째는 첫 믹스테이프가 나오기 전, 전역하기 전에 음악을 제대로 해보고 싶었는데 생각처럼 잘되지 않았다. 그래서 인정받고 싶었다. 작품이 없으니까 나 자신을 테스트해보고 싶기도 하고, 마침 심사위원으로 내 우상인 더 콰이엇이 나온다고 해서 그 앞에서 내가 하는 걸 보여주고 싶기도 하고 나를 알릴 수 있다는 확신이 있었다. 그 일을 계기로 더콰이엇 형과 연락이 닿아 <P.O.E.M.> 작업에 들어가게 됐다. 상승세를 타고 있었는데 더 욕심이 났다. 처음에는 순수하게 인정받고 싶었고 두 번째는 욕심나서 나가봤는데 그때까지 한 것만 가지고도 문제는 없을 거라는 거만한 마음도 있었다. 하지만 방송은 역시 내가 생각하지 못한 변수가 생기더라. 그 차가움을 딛고 세 번째로 나갈 때는 루피, 나플라가 나간다고 할 때 였다. 둘 다 되게 비장했다. 한국에서 할 수 있는 건 다 해봤는데도 메킷레인이 한계에 다다른 기분이었다. 더 좋은 걸 보여주고 들려주고 싶으니 자금도 문제였다. 그 비장함 속에 보이는 부담감을 조금이나마 덜어주려고 같이 나갔는데… 세 번이나 나가지는 말걸 그랬다.

대중은 오왼 오바도즈를 가끔 보지만 본인에겐 그걸 통해 이룬 게 하나씩 있으니 의미가 없진 않아 보인다. 요즘 힙합에서 플렉스(Flex)라는 단어를 많이 쓴다. 본인에겐 뭘 하는 게 플렉스인가? 너희가 어떤 짓을 해도 절대 가질 수 없는 것이 나에게는 있다는 것이 플렉스다. 너희가 아무리 애써도 이런 두상 못 가질 거고, 이런 리듬감 못 가질 거고, 아무리 비싼 옷으로 꾸며도 네 마음가짐이 명품이 아니면 행복을 느끼지 못할 거라고. 어릴 때 사고를 많이 쳐봐서 그 뒤로는 나 스스로 온전할 수 있는 걸 추구하다 보니 이렇게 느끼게 됐다. 이번 앨범의 수록곡 ‘Flex’에서도 이런 걸 이야기한다. 너희가 갖지 못한 그것들을 난 가지고 태어났고 계속 연마해왔기 때문에 그 갭이 좁혀지지 않을 거라고.

그렇게 사는 사람들은 변하지 않고 평생 그렇게 사는 경우가 많더라. 대개는 편한 상태를 벗어나는 걸 두려워한다. 진짜 변화는 거길 벗어나면서부터 시작되는데.

이 앨범에서 단 한 곡만을 들어야 한다면 어떤 곡을 들어보라고 권하고 싶나? ‘Possession’. ‘Flex’는 너희가 갖지 못한 거 내가 자랑 잠깐 해볼게 하는 느낌이고 ‘Possession’에서는 좀 더 차분하게 내가 바라본 세상이 어떤지 친절하게 설명했다. 진솔한 이야기를 좋아한다면 들어봤으면 좋겠다. 부제가 ‘밥 말리’인 이유가 있다. 밥 말리에게 어떤 기자가 당신 부자냐고 묻자 밥 말리가 부자가 되면 행복할 수 있느냐고 되물은 후 아니라고, “My richness is life, forever”라고 말한다. 내 삶의 부는 인생이다. 나도 그렇게 생각하기 때문에 매일 겪는 일들이, 만나는 사람들이 다 영감이 된다. 산다고 해서 다 똑같은 걸 보는 게 아니란 걸 깨달았다. 자기 안의 여과기가 다른 거지.

어떻게 살고 싶나. 음악을 찾기 전까진 나도 삶을 즐기거나 좋아하지 못했다. 나에겐 음악인, 무언가를 찾는 일이 모두에게 필요하다. 내가 좋아하는 걸 찾았으니까 끝까지 이걸 즐기면서 웃으면서 살았다고 기억에 남고 싶다. 막 무슨 열사처럼 사는 것 말고. 좀 해보니까 생각을 공유하는 건 좋은데 나 혼자만의 힘으로 바꿀 수 있는 건 없다는 걸 느껴서 이제 남은 시간은 내가 좋아하는 거 하면서 즐기고 행복하게 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