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덕중 감독

김덕중 감독

 

사회복지학과 졸업을 앞두고 있는 ‘성희(문혜인)’는 이젠 좀 숨 좀 쉬기 위해 스페인으로 떠나고 싶다. 장애인 활동 보조 아르바이트로 필요한 자금을 마저 모으기 위해 하루의 대부분을 누워서 생활하는 중증 장애인의 집을 새로이 맡는다. 딱히 할 일이 많지 않으리라는 기대와 달리 중증장애인의 고등학생 아들 현목(김준형)은 성희를 자꾸 귀찮게 한다. 성희가 돌볼 사람은 현목의 엄마지만 현목은 성희의 관심이 필요하다. 책임 밖의 영역에 들어가고 싶지 않은 성희와 관심이 필요한 현목의 실타래 같은 관계에 대하여.

<에듀케이션>의 시작이 궁금합니다. 활동 보조인과 장애인 엄마를 둔, 편모 가장의 청소년이 첫 장편 영화의 주인공이 된 이유가 무엇인가요?

활동보조인의 소재는 제 경험에서 끌어올린 부분이 있습니다. 오래 전 일이긴 하지만 당시 활동보조 일을 아르바이트 삼아서 하고 있었는데, 고민이 되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업무와 삶의 경계라 할까요? 활동보조 서비스의 이용자가 중증 장애인일 경우엔 장시간 1:1 관계로 밀착해 이뤄지게 됩니다. 그러다 보니 그냥 사무적으로 상대를 대하기가 쉽지 않죠. 그런데 한편으로는 그런 태도가 최근의 시류와 맞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일은 일일 뿐 나만의 안전한 공간에서 좋아하는 것을 하면 된다는 삶의 태도가 요새는 특이한 일이 아니잖아요. 오히려 이 힘든 세상에서 버틸 수 있는 유일한 지침처럼 여겨지는 것도 같아요. 그래서 그런 삶의 태도를 극단화 시킨 청년을 중증 장애인 활동보조인과 가장 청소년의 집에 배치해보고 싶었어요. 무슨 일이 일어날까? 결말을 어떻게 내려야 할까? 저도 처음에 많은 고민을 했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다만, 결말은 제법 일찌감치 정해두고 시나리오를 썼어요. 결국, 결말은 이어 붙일 수 없을 것만 같은 두 삶이 뒤엉킨다. 였습니다.

비장애인으로서 장애인을 소재로 한다는 것은 대상에 대한 접근이 조심스러울 것 같습니다. 연출 과정에서 가장 경계했던 지점은 무엇인가요?

장애인 캐릭터가 등장한 수많은 레퍼런스들이 있습니다. 어떤 영화에서 장애라는 설정 때문에 비장애인의 커다란 장애물이 되기도 하고, 어떤 영화에서는 오히려 미러링으로 현자처럼 그려지기도 했습니다. <에듀케이션>에서도 장애인 캐릭터의 어떤 일반화로부터 완전히 자유롭진 않습니다. 극을 끌어나가기 위해서 필요했던 현목 엄마 캐릭터는 어떤 의미에서 장애가 너무 강조되었고, 리얼리티에서 벗어난 부분도 있습니다. 그걸 다소 만회하기 위해 특별하지 않은 평범한 다수의 장애인 인물들을 등장시켜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자고 마음먹었습니다. 현목 엄마 캐릭터는 다소 극화의 요소가 많지만 적어도 그녀가 영화에서 장애인 전체를 대표하진 않게 하려는 의도였습니다.

성희와 현목은 누구 하나 일방적으로 불쌍하지도 않고, 선악의 기준으로만 판단할 수도 없습니다. 이 인물들이 관객들에게 어떻게 다가가기를 바라는 점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에듀케이션>에 등장하는 누구 하나 그렇게 나쁘지도, 착하지도 않다고 여겨집니다. 왜냐면 제 주변 실제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이 바로 그렇거든요. 이를 이유로 내러티브에서 오는 파장이 다소 약해질 수도 있다는 조언도 많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관객들이 딱 내 편이라는 생각으로 이입할 수 있는 인물을 찾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건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있기도 했어요. <에듀케이션>에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가 가야할 방향에 대한 정답이 나와있지 않습니다. 오히려 고민해보자고 문제를 던지죠. 이 내러티브에서 ‘어떤 정답’을 갖고 있었더라면 선악의 구분이 조금 더 확실했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만, 캐릭터가 어떤 면에서는 모호하기도 하고 어떤 각도에서 보면 다층적인 이유는 여기에 기인하는 것 같습니다.

현목의 엄마는 움직일 수도, 말할 수도 없는 중증 장애인입니다. 성희와 현목의 관계에서 현목의 엄마는 어떤 역할을 하나요?

현목 엄마는 성희가 절대 마주치고 싶지 않아 하는 그런 상황. 관계들을 가능하게 하는 매개체 같은 인물입니다. 사실 현목 엄마 캐릭터의 어떤 한계에 대해서는 시나리오 단계부터 감지한 부분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만회할 수 있는 방법을 별도로 고민했던 것이기도 합니다. 사실 극 전체에서 현목 엄마는 어떤 상징처럼 여겨지기도 합니다. 그녀는 둘의 잘나고, 못난 행동 모든 것을 보고 있고, 뭔가 생각하고 있었을 수도 있지요. 혹은 아닐 수도 있고요. 그렇게 남의 속을 모르기 때문에 성희와 현목이 투닥거리는 상황이 반복됩니다.

영화에는 비행기 소리나 개 짖는 소리 등의 생활 소음 같은 소리가 그대로 담겨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긴 테이크 호흡의 영화로 계획하면서, 자칫 몰입이 흐트러질 수도 있기 때문에 영화의 다양한 요소들을 활용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사운드도 그렇습니다. 한 컷으로 길게 보여주기 때문에 그 공간의 다양한 요소들을 보여주기 어렵지만 오류동 특유의 특성은 살리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비행기 소리는 사실 볼 때마다 조금 가슴 아픕니다. 비행기는 지나쳐 보내고 더 잘 가다듬어서 촬영했어야 했던 거 아닐까라는 생각도 듭니다.

지금, 성희와 현목은 어떤 삶을 살고 있을까요?

영화 안에서는 둘의 미래를 예측할 수 없게 해뒀습니다만, 저도 관객의 한 사람으로 그저 상상 해본다면 성희는 어쩌면 스페인으로 갔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리 긴 시간을 스페인에서 보내지 못하고 다시 한국으로 돌아가야 하는 상황에 처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현목은 조금의 시간 후에 아마 다른 활동보조인을 만날 수 있지 않을까요? 그 활동보조인과의 관계가 서툴기만 했던 성희와는 다르겠지만요.

 <에듀케이션>을 통해 관객과 공유하고 싶은 감정은 무엇인가요?

제겐 성희도, 현목도 그리고 그 외 다른 모든 등장인물 모두가 사랑스러운 캐릭터입니다. 그들은 못난 짓을 하지만 적어도 악한 짓을 의도적으로 하진 않지 않은가. 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제 욕심일 수 있겠지만, ‘그럴 때도 있을 수 있어. 더 잘하면 되잖아.’ 하면서 영화 속 서툰 그들을 관객들이 응원해주었으면 합니다.

독립영화가 선택하는 이야기의 스펙트럼은 굉장히 넓습니다. 독립영화를 만드는 즐거움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독립영화는 말씀대로 스펙트럼이 넓습니다. 어떤 영화는 특이한 야망을 불태워서, 그 힘으로 밀어 부치기도 하고, 어떤 영화는 또 욕심 없이 아, 이렇게도 영화가 되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독립영화를 만드는 즐거움 중 먼저 꼽고 싶은 것은 이런 자유로움입니다. 나만 이런 거 좋아하는 줄 알았는데 이런 걸 좋아하는 사람이 또 있었네, 하는 신기한 발견까지 더해질 때 또 새로운 영화를 만들고 싶은 원동력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