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의도와 달리 가는 곳마다 ‘독특하다’, ‘특이하다’는 말을 듣는 남자가 있다. 근 몇 년간 힙합 음악 좀 듣는다는 이들 사이에서 가장 주목받는 아티스트로 자주 오르내리는 천재노창이다. 긴 길을 돌아 이제야 온전히 ‘나의 것’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는 이 힙합 프로듀서의 일상은 정성스러운 무두질로 견고해진 ‘아티스트 천재노창’과 매 순간 고민하고 다짐하는 20대 ‘인간 노창중’의 모습이 끊임없이 교차되고 있었다.
7월 말에 새 싱글 <힙합>이 나왔다. 8분에 이르는 트랙 길이, 음반 소개에 ‘그는 요번에 힙합 음악을 냈다’라는 한 줄 소개까지 꽤 의미심장하다. 의외로 별생각 없이 만든 곡이다.(웃음) 2주 전에 발매가 결정된 뒤 곡부터 커버까지 일주일 만에 부랴부랴 완성했다. 그냥 ‘나 이런 비트 다 만들 줄 안다’, 그런 느낌으로 작업했다. 랩은 엔더블유에이(N.W.A), 노토리어스 비아이지(Notorious B.I.G), 우탕클랜(Wu-tang Clan)이나 지펑크(G-Funk) 스타일 같은, 멋있지만 약간 촌스러운 옛것들을 지향했다.
지난 6월에 발표한 앨범 도 그렇고 역시나 독특하다. 내 음악을 듣고 특이하다고들 하는데 그냥 이전에 없었던 걸 하기 때문에 눈에 띄는 게 아닌가 싶다. 개인적으로 기존에 없던 걸 하고 싶다는 욕망이 무척 강하다. 음악만큼은 나만의 잣대가 분명하고, 거기에만 집중하는 편이다.
그런 성향치고는 <쇼 미 더 머니>에서 <노 머시>까지, 소속사 저스트뮤직의 노예라고 ‘노예노창’이라는 별명까지 얻어가면서 음악 서바이벌 프로그램에서 눈부시게 활약했다. <쇼 미 더 머니>는 스윙스 형을 도우면서 시작했는데, 그때 형의 어떤 ‘대의’가 느껴졌다. 자신도, 레이블 저스트뮤직도 한국 최고로 만든 뒤 세계로 나아가겠다는 의지를 느끼고 나서는, 발판이 되기 위해 뭐라도 하고 싶었다. 곡도 쓰고 악기 세션도 하고 믹싱, 마스터링까지 할 수 있는 건 다 했다. 그 때문에 노예라는 별명도 얻었지만 상관없다. 그만큼 나도 명성을 얻었고, 스윙스, 기리보이, 씨잼 같은 회사 동료들이 유명해지고 회사가 잘 되는 걸 볼 수 있어 진심으로 기쁘다.
그런 작업을 할 때는 아까 말한 ‘나만의 잣대’를 들이대기 쉽지 않을 텐데, 자신의 스타일과 특정 상황에 맞는 음악 사이에서 조율하며 음악을 만들어야 하는 상황이 고되지는 않았나? 사실 내가 성격이 정말 착하다.(웃음) 남들한테 다정하게 잘하는 게 아니라 거절하기 힘들어하는, 소심함이 있다. 그리고 당시에는 나보다 훨씬 유명한 뮤지션이나 회사 사람들이랑 작업하는 게 싫다 좋다 생각할 겨를도 없었고, 그냥 ‘와, 내가 만든 거 또 나온다!’ 하면서 신나기만 했던 것 같다. 물론 그 후에 다시 개인 작업을 하면서 내 거 만드는 방법을 다 잊어버려서 큰일났다고 생각하긴 했지만 말이다.
그렇게 탄생한 개인 앨범 중 특히 마지막 곡 ‘행’이 잊혀지지가 않는다. 그 곡을 쓰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건 블랙넛이었다. 평소 서로 작업한 것을 놓고 이런저런 조언을 나누는 편인데, 전부터 형이 전체 내용을 한 문장으로 담아보는 게 어떠냐는 얘기를 했었다. 내 가사는 기본적으로 호흡이 엄청나게 길어 한 문장으로 끝낼 수가 없다. 하지만 앨범의 다른 곡들과 달리 마지막 곡 ‘행’만큼은 그러지 않았다. 그냥 내가 하고 싶은 얘기를 다 하고 싶었다. 실제로 곡을 쓰면서 문장을 한 번도 끊지 않았다.
수록곡을 듣다 보니 감정의 극한을 이어 붙인 곡이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어떤가? 나는 스스로를 목 매달기 직전까지 밀어붙이는 타입이다. 압박하다 보면 불행해지고, 하지만 그 때문에 강해지고 다시 행복해지고. 그런 이상한 순환 안에서 사는 것 같다. 한국에서 살아가는 20대로서도 그렇다. 특히 한국은 기본적으로 열심히 하는 레벨이 다르다고 생각한다. 이런 환경에서 자라난 아이들은 기본적으로 악이나 억울함이 있을 수밖에 없다.
어쩐지 ‘2015년을 살아가는 20대의 비망록’ 같은 대답이다. 나는 아티스트로서도 인간으로서도 역사에 이름을 남기고 싶다. 어떤 스타일이나 시기 안에 내가 있는 게 아니라, 내 이름이 곧 스타일이 되고 그 아래 모든 것이 놓이는 그런 사람. 거창하게 들리겠지만 실제로 그렇게 느낀다. 몇 페이지의 몇 단락에 놓인 이름이 아닌, 나로서 완결되는 책 한 권이 되고 싶다.
그 커다란 포부를 좇다 보면 아티스트로서, 또 인간 노창중으로서의 삶에서 밸런스를 조절해나가는 게 쉽지만은 않겠다. 그렇다. 아티스트로서 내 자아는 기억이나 경험 같은, 인간 노창중이 얻는 것을 영양분으로 성장하는 게 확실한데, 반대로 아티스트로서의 자아가 인간 노창중을 키워주는지는 잘 모르겠다. 지금 나에겐 자신 있는 모습도 멋있다고 느끼는 때도 전부 아티스트로서의 나다. 그걸 벗어나 인간 노창중이 될 때면 난 늘 주변 사람들에게 말하는 것처럼 그저 ‘개예민한 빡빡이’일 뿐이다. 생각해보니 아티스트의 자아라는 거, 그거 엄청 이기적이고 나쁜 매력이 있는 놈이다.(웃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