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리에서 활동하는 에코 페미니스트 아티스트 비바 갈호트라는 자연과 생태계를 주제로 작업한다. 그의 작업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건 그가 태어나고 자란 인도다. 히말라야에서 기원해 갠지스강으로 흐르는 야무나강은 인도의 생명줄이자 신성한 곳이다. 인도에서는 많은 사람이 갠지스강을 찾아 작은 배로 타고 소원을 빌고, 생이 끝난 후 갠지스 강에서 장례를 치르기를 바라며, 가족을 위해 강물을 떠가기도 한다. 하지만 이 신성한 곳은 지금도 사람들 때문에 끊임없이 오염되고 있다. 사람들의 숭배 대상이면서도 실제로는 더러운 강이 되어버린 야무나강. 비바 갈호트라는 실재와 다른 인간의 믿음을 망가진 환경에서 찾으며 작품에 담는다. 그는 강에 쌓인 검은 오염 물질을 건져내 그림을 그리기도 했다. 환경과 더불어 또 하나의 중요한 키워드는 여성이다. 커다란 조형 작품인 ‘Majnu Ka Tila’(2015)는 수많은 방울로 강을 표현했다. 인도 여성들이 전통 춤을 출 때 차는 발찌를 채우는 방울로 춤을 추지 않아도 결혼한 여성들이 즐겨 차는 것인데, 인도 문화에서는 여성을 상징하기도 한다. 작품 속 방울은 모두 그녀가 살고 있는 지역의 인도 여성들이 사용하던 것이다. 작가는 그렇게 여성과 환경을 대하는 사람들의 생각과 행동이 변하길 바라는 마음에서 오늘도 질문을 던진다.
작업할 때 당신이 가장 중점을 두는 것은 무엇인가? 나는 내가 이 세상을 여행하는 여행자이자 우리가 살아가는 환경에서 일어나는 일을 지켜보는 관찰자라고 생각한다. 내 작업의 키워드는 환경과 생태계다. 새로운 도시 공간에 대해 늘 의문을 품는다. 단순히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이라는 기준으로 만들어지는 공간의 차이는 아니다. 내가 살고 있는 곳이나 나와 가까운 곳의 창을 통해 환경과 생태계를 관찰한다.
당신은 에코 페미니스트 아티스트라고 불린다. 에코 페미니스트 아티스트를 어떻게 정의하고 싶은가? 언젠가 한 학생이 같은 질문을 한 적이 있다. 생태계 문제와 관련된 작업을 해서 그런지 사람들은 나를 에코 페미니스트라고 부른다. 그 수식어가 때로 버겁게 느껴지고, 내가 과연 페미니스트로서 어떤 작업을 하고 있는지 자문할 때도 있다. 예 혹은 아니오로 단순하게 답할 문제 역시 아니다. 나는 분명 환경운동가지만 에코 페미니스트라는 수식어가 주는 중압감이 내겐 너무 큰 것이 사실이다.
당신이 태어난 도시 찬디가르(Chandigarh)는 인도의 다른 지역과 느낌이 많이 다른 곳이다. 이 도시만의 느낌이 당신의 작업에 영향을 미쳤을 것 같다. 지금은 델리에서 살고 있지만 찬디가르에서 나고 자랐고, 미술 공부를 한 곳도 찬디가르다. 찬디가르는 르 코르뷔지에가 계획한 도시로 30개의 사각형으로 구획돼 있다. 직선으로 구획된 도시, 건축물, 쾌적한 공기. 이 모든 것이 내 초창기 작품에 영향을 주었다. 반면 지금 살고 있는 델리는 한마디로 잘 짜인 ‘카오스’다. 혼잡한 도시지만 수많은 벌들이 질서를 지키며 드나드는 벌집처럼 잘 짜인 카오스 같은 곳이다. 내가 델리에 막 왔을 무렵 도시계획이 한창 진행 중이었다. 그래서 찬디가르에서 이곳으로 입장한 듯한 기분이 들었다. 찬디가르는 여전히 내 무의식에 영향을 미친다.
미국에서 <The Future Is Female>이라는 전시를 한 적이 있다. 이때 환경을 주제로 한 영상 ‘The Manthan’을 선보였는데 어떤 작품인가? <The Future Is Female>은 미국 켄터키주 루이빌(Louisville)에 있는 21세기 미술관에서 지난해 열린 전시다.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전에 열려고 계획했던 전시인데, 당시의 정치적 상황과 맞물려 페미니즘이 후퇴하지 않을까 우려되는 시기이기도 했다. 여러 여성 아티스트와 함께 연 이 전시에서 나는 10분 짜리 영상인 ‘The Manthan’을 상영했다. ‘manthan’은 힌디어로 휘저음, 동요, 흥분이란 뜻으로 <비슈누 푸란(Vishnu Puran)>이란 인도의 오랜 서사에 등장하는 단어이기도 하다. <비슈누 푸란>에 등장하는 이야기 중 신들이 악마와 함께 삶의 요소를 찾아내기 위해 바다를 노 저어 가는 장면이 등장한다. 나는 8년 가까이 강에 쌓여가는 오염 물질을 찾아다니며 관찰했다. 나의 그런 점이 <비슈누 푸란>에서 삶의 의미를 찾아 바다를 노 저어 가는 모습을 닮았다는 생각에서 출발해 ‘The Manthan’이라는 작품을 완성했다. 영상에 몇 명의 다이버가 등장하는데 이들이 오염된 강을 정화하기 위해 흰 천을 던진다. 이들의 바람은 강을 깨끗하게 정화하는 거지만 흰 천이 해낼 수 있는 일은 아무것도 없다. 흰 천은 강에 쌓인 오염 물질 때문에 금세 검은색이 되어버린다. 강을 살리려는 이들의 행동은 수동적이며 무의미할 뿐이다. 이를 통해 자연을 지켜내기 위해 지금 당장 행동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리고 싶었다.
예술가로서 여성과 환경을 위해 해내고 싶은 프로젝트가 궁금하다. 많은 여성과 함께 다양한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행동하고 있다. 우리가 특별히 주목하는 것은 지금도 암암리에 현존하는 여성에게 행해지는 노예제도와 전통이라는 이름 아래 이뤄지는 성매매다. 아프네 압(Apne Aap)이라는 NGO에서 일한 적이 있는데, 이들은 페르나와 사페라 카스트와 관련된 활동을 한다. 사페라 카스트는 전통이라는 이유로 첫아이를 낳은 아내에게 성매매를 강요한다. 요즘 내가 진행하는 프로젝트는 이 말도 안 되는 전통을 없애기 위한 행동이다. 때때로 내가 자유로운 여성이라고 생각하는 지금의 상황이 불합리하게 느껴진다. 그러다 다시 그렇지 않은 여성들의 삶이 부당한 것이 아닌가 하는 질문으로 돌아온다. 그리고 다시 생각한다. 어떻게 여전히 그런 불합리하고 부당하며 인간적이지 않은 삶을 살 수 있는가? 언젠가 이런 상황에 처한 여성들을 내 미술 작업과 연결해보려고 한다. 나는 자연과 생태계를 주제로 작업하는데 자연은 여성을 중심으로 돌아간다. 모성을 비롯해 여성의 공감 능력은 모두 자연이 품은 것이기도 하다. 부당한 상황에 놓인 여성을 위한 활동뿐만 아니라 여성과 함께 혹은 그들과 관련된 작업을 하고자 하는데 그 전에 이들의 커뮤니티를 보다 깊숙이 이해하고 이들을 위한 활동을 멈추지 말아야 한다. 이러한 활동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인도에서 성폭력 문제가 되풀이되고 있다. 미투 운동을 비롯해 성폭력 문제가 어느 때보다 뜨거운 화두인 요즘 인도 사회에서 페미니즘과 관련한 운동은 어떠한 변화를 겪고 있는가? 인도에서는 오랜 시간 동안 여성 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다뤄졌다. 하지만 인도는 빈부 격차만큼이나 교육 격차가 워낙 크다. 인도 인구의 50퍼센트가 넘는 사람들이 문맹이며 그중 많은 사람이 여전히 전통적인 삶의 방식을 따라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도시 간 격차가 점점 벌어지면서 인권에 대한 인식의 차이도 점점 벌어지고 있다. 빠른 속도로 도시화되고 교육을 받는 사회가 있는 반면, 어떤 곳은 여전히 문맹률이 높고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하며 여성을 노예처럼 여긴다. 나는 이를 ‘현대의 노예’라 부른다. 여성을 인간이 아닌 물건으로 취급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 문제를 아주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다만 희망적인 것은 소셜미디어를 접하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져 인간으로서 누려야 할 마땅한 권리에 대해 고민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는 점이다. 20년 전만 하더라도 이러한 움직임은 보이지 않았다. 과거에는 폭력을 당한 사람들이 자신의 피해 사실을 얘기하지 않았다. 성폭력 역시 마찬가지다. 아무도 성폭행을 당했다고 말하려 하지 않았다. 하지만 지금 사람들은 목소리를 내고 있으며, 이는 큰 움직임이다. 미투 운동은 인도의 여성들에게도 성폭력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게 했다. 델리는 지금 변하고 있지만 온전히 변화하려면 앞으로도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여성을 도울 수 있는 것은 결국 여성이다. 여성도 동등한 권리를 가져야 한다는 것을 보다 많은 사람들이 알게 하려면 여성이 각자의 자리에서 적극적으로 행동해야 한다.
당신의 작업은 지금 속한 사회를 비판하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이 외에 관심을 가진 분야가 있다면 무엇인가? 관심 있는 분야는 무척 많다. 그중 하나가 믿음과 실존 사이에서 일어나는 싸움이다. 나는 다섯 가지 요소를 둘러싼 전통 혹은 본래의 관습을 좀 더 자세히 들여다 보고자 한다. 인도에서는 이 다섯 가지 요소를 가리켜 판차부타 (Panchabhuta)라 부른다. 판차부타는 땅과 물, 불과 공기, 높은 하늘이다. 세상을 이루는 이 다섯 가지가 인간과 자연 사이에서 어떻게 균형을 이루며 또 지구에서 이 다섯 가지가 어떻게 균형을 이루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우리는 소비지상주의와 새로운 경제정책을 통해 끊임없이 세상을 이루는 이 다섯 가지 요소를 소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다섯 가지 요소를 상품화한다. 물을 팔고 공기를 판다. 세상을 위해 필요한 것이 모두 팔 수 있는 물건이 되면서 이로 인해 불평등이 발생한다. 참 이상한 일이다.
세상의 변화를 원하며 행동하는 예술가들은 그 변화의 속도가 더뎌 지칠 수 있을 것 같다. 내 활동가 친구들은 내게 세상을 변화시키기 위해 인내가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수도 없이 말했다. 세상은 결코 빠르게 변하지 않으며 참고 견디지 않으면 변화를 일으킬 수 없다. 우리는 변화를 기다리며 많은 시간을 보냈고 앞으로도 많은 시간을 견뎌야 할 것이다. 올바른 세상을 위해서는 인내가 필요하며 우리는 결코 쉽게 지쳐서는 안 된다.
예술이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을까? 예술은 매우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문제를 이슈화하는 시작점이 될 수 있다. 또 우리의 삶에 질문을 던지기 위해 꼭 필요하다. 아티스트나 영화감독 혹은 많은 분야의 예술가 없이는 세상이 변할 수 없다. 왜냐하면 그들은 이 세상에 질문을 던지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예술은 이러한 이슈에 대한 목소리를 내기 위해 꼭 필요한, 매우 중요한 매개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