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IOR
- DIOR
- CHANEL
- CHANEL
- LOUIS VUITTON
- LOUIS VUITTON
영화처럼, 예술처럼
파리 패션위크를 대표하는 레이블들이 패션과 예술을 감각적으로 조합하는 데 뜻을 같이했다. 디올은 이탈리아의 진보적인 페미니스트이자 콜라주 아티스트 루차 마르쿠치의 작품을 고딕풍 스테인드글라스에 프린트한 쇼 스페이스에서 컬렉션을 선보이며, 세퀜차 9.3의 성가에 맞춰 예술적인 무대를 구성해 호평받았다. 루이 비통은 또 어떤가? 젠더의 경계를 섬세하게 허물고 영민하게 조합하는 데 집중한 니콜라 제스키에르는 파리의 상징적인 장소인 라 사마리탱의 유리 지붕 아래에서 쇼를 선보였는데, 관객은 영화 세트장을 연상시키는 녹색 실크스크린에 둘러싸여 있었다. 알고 보니 이는 루이 비통이 온라인으로 쇼를 관람하는 전 세계 관객을 위해 특별히 준비한 선물! 라이브 방송을 보는 내내 영화 <베를린 천사의 시> 장면을 차용한 인터랙티브 배경이 실크스크린에 펼쳐졌다. 샤넬 역시 컬렉션을 시작하기 전 네덜란드의 포토그래퍼 듀오 이네즈 반 램스위어드와 비누드 마타딘에게 의뢰해 제작한 흑백 티저 영상을 공개했다. 레드 카펫 포토콜에서 포즈를 취하는 배우들과 영화의 여러 장면에서 영감을 받았다는 버지니 비아르의 컬렉션은 그 어느 때보다 드라마틱했다.
- BALENCIAGA
- BALENCIAGA
- CHLOE
- CHLOE
ON THE STREET
파리의 낭만적인 거리를 힙한 런웨이로 바꿔놓은 레이블이 눈에 띄었다. 발렌시아가와 끌로에가 그 주인공. 이처럼 컬렉션을 선보이는 방식은 비슷했으나 쇼의 주제부터 시점까지 정반대 관점에서 선보여 더욱 흥미로웠다. 우선, 발렌시아가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뎀나 바잘리아는 ‘지구 종말 이후의 삶(Post-Apocalyptic)’이란 다소 자극적인 테마를 감각적으로 부각하기 위해 파리의 밤거리를 선택했다. 그 결과 낙낙한 스웨트셔츠부터 로브까지 일상적인 옷을 근사한 이브닝 웨어로 변주한 컬렉션이 탄생했는데, 패브릭의 90% 이상을 지속 가능한 소재를 활용해 업사이클링했다는 사실이 유의미했다. 반면, 끌로에는 대낮의 파리 거리에 새 컬렉션을 입은 모델들을 등장시킨 영상을 선보여 눈길을 끌었다. ‘희망을 품은 계절(A Season in Hope)’이란 밝고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한 나타샤 램지 레비는 일상에서 마주할 법한 실용적인 룩을 선보여 현실감을 부여했다.
- LOEWE
- LOEWE
SHOW ON THE WALL
“당장 내일을 알 수 없지만, 일단 즐기자고요!” 로에베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조나단 앤더슨은 팬데믹에 빠진 현실을 즐기며 극복하기 위해 창의적인 시도를 감행했다. ‘Show-on-the-Wall’이란 테마로 전개한 새 컬렉션은 폭넓은 세대와 다양한 나라의 아티스트 16명이 예술적 실루엣의 로에베 의상을 입고 찍은 포스터 형태로 선보였다. 최초의 ‘페이퍼 컬렉션’으로 패션계에 또 다른 가능성을 제시한 로에베의 도전에 박수를!
- CHRISTIAN LOUBOUTIN
- MIU MIU
언택트 시대의 패션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본격적인 언택트 시대가 도래했다. 이를 쿨하게 인정하고 위트 있게 대응한 두 브랜드가 있어 소개한다. 우선, 미우미우는 쇼장에 대형 스크린을 설치하고 이를 통해 전 세계 셀러브리티들을 화상으로 초대했는데 우리나라에선 윤아가 초대되어 눈길을 끌었다. 이 덕분에 스포츠웨어와 하이패션을 감각적으로 조합해낸 새 컬렉션을 보는 유명(!) 관객들의 반응이 실시간으로 중계되는 장관이 펼쳐졌다. 크리스찬 루부탱의 장난기 어린 시도도 빛을 발했다. 우리나라에 기반을 둔 증강현실 아바타 서비스 ‘제페토(Zepeto)’의 디지털 이벤트로 2021S/S 컬렉션을 소개한 것. 디자이너는 실감 나는 루비 월드로 전 세계 프레스를 초청했다. 이곳에선 얼굴 인식을 통해 피부 톤부터 옷차림까지 전부 마음대로 선택해 자신만의 아바타를 만들 수 있으며, 크리스찬 루부탱의 2021S/S 컬렉션에서 원하는 신발과 액세서리를 고를 수 있다. 디자이너들의 재기 발랄한 시도 덕분에 보는 즐거움이 쏠쏠했음은 물론이다.